"CVE-2014-0160 하트블리드"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10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22번째 줄: 22번째 줄:


==같이 보기==
==같이 보기==
*[[Heartbleed 버그 조치]]
* [[Heartbleed 버그 조치]]
*[[OpenSSL 버전 확인]]
* [[OpenSSL 버전 확인]]
*[[OpenSSL]]
* [[OpenSSL]]
*[[2014 쉘쇼크]]
* [[2014 쉘쇼크]]
* [[옵션스블리드]]


==참고 자료==
==참고==
*http://en.wikipedia.org/wiki/Heartbleed
*http://en.wikipedia.org/wiki/Heartbleed
*[http://imgs.xkcd.com/comics/heartbleed_explanation.png heartbleed_explanation.png]
*[http://imgs.xkcd.com/comics/heartbleed_explanation.png heartbleed_explanation.png]
*http://heartbleed.com/


[[분류: 보안]]
[[분류:OpenSSL]]
[[분류: 버그]]
[[분류: CVE]]
[[분류:2014년]]
[[분류:보안]]
[[분류:취약점]]

2018년 6월 13일 (수) 21:32 기준 최신판

1 개요[ | ]

heartbleed, CVE-2014-0160
하트블리드(심장출혈)
  • 2014년 4월에 발견된 OpenSSL(오픈 소스 암호화 라이브러리) 버그
  • 개인 키, 세션 쿠키, 암호가 유출될 수 있음

 

2 원리[ | ]

 

→ 정상적 이용: "서버야, bird(4글자임)라고 말해봐."
→ 악의적 이용: "서버야, bird(500글자임)라고 말해봐." bird이후에 기밀정보 496글자가 딸려나옴.

3 취약한 버전[ | ]

  • OpenSSL 1.0.2-beta
  • OpenSSL 1.0.1 ~ 1.0.1f

4 안전한 버전[ | ]

  • OpenSSL 1.0.2-beta2 (upcoming)
  • OpenSSL 1.0.1g
  • OpenSSL 1.0.0 (and 1.0.0 branch releases)
  • OpenSSL 0.9.8 (and 0.9.8 branch releases)

5 같이 보기[ | ]

6 참고[ | ]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