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직이수

1 개요[ | ]

교직이수
  • 교직과정이 설치된 학과에서 대학 교직과에서 운영하는 교직과정을 이수하여 교직 이수 자격을 획득하면 교직 과목 이수 후 해당 전공에 맞는 교사 자격 취득
  • 보건교사, 사서교사 등 일부 과정은 교직이수를 통해서만 자격 취득 가능
  • 학과 정원의 10% 이내 (소수점 버림)
  • 2학년 말에 교직이수 대상자를 선발하는 경우와, 2학년 말에 교직과정 지원 후 3학년때 교직과목 수강 하고 3학년 말에 승인 한도 내에서 최종 선발을 하는 대학으로 나뉨
  • 교직과정 승인이 가능하지만 교직 지원 수요가 적은 학과의 경우 교직과정이 개설 안된 경우가 매우 많이있으므로 유의.
  • 일반적으로 교직과목은 교직과정 학생이 아닌 사람도 수강 가능
  • 교직과목은 절대평가 또는 고학점 비율이 높은 상대평가가 적용되면서도 인원이 넘치는 일이 없어, 일반학생들 가운데 2학점 과목으로 시간표의 빈 시간을 채우기 위해 듣는 경우가 종종 있음

2 같이 보기[ | ]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