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기덕 (1960년) 편집하기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34번째 줄: 34번째 줄:
1960년 12월 20일 [[경상북도]] [[봉화군]] [[춘양면 (봉화군)|춘양면]] 서벽리에서 태어났다.<ref>{{웹 인용 |url = https://news.v.daum.net/v/20060907173507219|제목 = 봉화 금강송숲·창수전시림… 명품숲 4곳 일반에 개방|저자 = 이성원|날짜 = 2006-09-07|확인날짜 = 2012-09-12|출판사 = 한국일보}}</ref><ref>{{웹 인용|url = http://news.sportsseoul.com/read/entertain/1081734.htm|제목 = 김기덕 감독, 고향 봉화군에 플래카드 붙었다 '금의환향'|저자 = 연예팀|날짜 = 2012-09-12|확인날짜 = 2012-09-12|출판사 = 스포츠서울|보존url = https://web.archive.org/web/20120915041151/http://news.sportsseoul.com/read/entertain/1081734.htm#|보존날짜 = 2012-09-15|url-status = dead}}</ref> 초등학교 3학년 때였던 1968년에 [[경기도]] [[고양시|고양]]으로 이주하였으며, 초등학교를 졸업한 후 집안 형편이 어려워 기술을 배우라는 부친의 권유에 따라 중학교 진학을 포기했다. 전수 학교와 전자 공장을 다니며 20세까지 성장한 김기덕은 [[대한민국 해병대|해병대]]에 [[부사관]]으로 임관하여 5년 간 복무했다. 제대한 후 1986년부터 [[화가]]로 활동하였고 [[남산 (서울)|남산]]의 장애인 보호 시설에서 [[전도사]]로 일하는 동시에 신학교를 다니며 30세까지 [[서울]]에서 지냈다.
1960년 12월 20일 [[경상북도]] [[봉화군]] [[춘양면 (봉화군)|춘양면]] 서벽리에서 태어났다.<ref>{{웹 인용 |url = https://news.v.daum.net/v/20060907173507219|제목 = 봉화 금강송숲·창수전시림… 명품숲 4곳 일반에 개방|저자 = 이성원|날짜 = 2006-09-07|확인날짜 = 2012-09-12|출판사 = 한국일보}}</ref><ref>{{웹 인용|url = http://news.sportsseoul.com/read/entertain/1081734.htm|제목 = 김기덕 감독, 고향 봉화군에 플래카드 붙었다 '금의환향'|저자 = 연예팀|날짜 = 2012-09-12|확인날짜 = 2012-09-12|출판사 = 스포츠서울|보존url = https://web.archive.org/web/20120915041151/http://news.sportsseoul.com/read/entertain/1081734.htm#|보존날짜 = 2012-09-15|url-status = dead}}</ref> 초등학교 3학년 때였던 1968년에 [[경기도]] [[고양시|고양]]으로 이주하였으며, 초등학교를 졸업한 후 집안 형편이 어려워 기술을 배우라는 부친의 권유에 따라 중학교 진학을 포기했다. 전수 학교와 전자 공장을 다니며 20세까지 성장한 김기덕은 [[대한민국 해병대|해병대]]에 [[부사관]]으로 임관하여 5년 간 복무했다. 제대한 후 1986년부터 [[화가]]로 활동하였고 [[남산 (서울)|남산]]의 장애인 보호 시설에서 [[전도사]]로 일하는 동시에 신학교를 다니며 30세까지 [[서울]]에서 지냈다.


평소 그림에 대한 생각이 남달랐던 김기덕은 [[백남준]]과 관련된 기사가 동기가 되어 31세가 되던 1990년에 [[프랑스]] [[파리 (프랑스)|파리]]로 떠났다. 1990년부터 1992년까지 3년간 프랑스와 유럽 각지를 다니며 스스로 [[회화]] 공부를 하던 중 우연히 들른 영화관에서 태어나서 처음으로 영화 《[[양들의 침묵 (1991)|양들의 침묵]]》(1990), 《[[퐁네프의 연인들]]》 등을 보고 영화에 대한 꿈을 꾸게 되었다.
평소 그림에 대한 생각이 남달랐던 김기덕은 [[백남준]]과 관련된 기사가 동기가 되어 31세가 되던 1990년에 [[프랑스]] [[파리 (프랑스)|파리]]로 떠났다. 1990년부터 1992년까지 3년간 프랑스와 유럽 각지를 다니며 스스로 [[회화]] 공부를 하던 중 우연히 들른 영화관에서 태어나서 처음으로 영화 《[[양들의 침묵 (영화)|양들의 침묵]]》(1990), 《[[퐁네프의 연인들]]》 등을 보고 영화에 대한 꿈을 꾸게 되었다.


1992년에 귀국한 뒤 《화가와 사형수》로 1993년 영상작가교육원 창작 대상, 《무단 횡단》으로 1995년 영화진흥공사 시나리오 공모 대상을 받는 등 각본가로 활동하다가 1996년작인 《[[악어 (1996)|악어]]》를 통해 자신이 직접 감독하여 영화를 만들기 시작했다. 잔인하고 어두운 영상과 내용으로 이름이 알려져 있으며, 2004년 [[베를린 국제 영화제]]에서 《[[사마리아 (영화)|사마리아]]》로,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에서 《[[빈 집 (2004년 영화)|빈 집]]》으로 연이어 감독상을 수상했다.
1992년에 귀국한 뒤 《화가와 사형수》로 1993년 영상작가교육원 창작 대상, 《무단 횡단》으로 1995년 영화진흥공사 시나리오 공모 대상을 받는 등 각본가로 활동하다가 1996년작인 《[[악어 (1996)|악어]]》를 통해 자신이 직접 감독하여 영화를 만들기 시작했다. 잔인하고 어두운 영상과 내용으로 이름이 알려져 있으며, 2004년 [[베를린 국제 영화제]]에서 《[[사마리아 (영화)|사마리아]]》로,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에서 《[[빈 집 (2004년 영화)|빈 집]]》으로 연이어 감독상을 수상했다.

제타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제타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