맹자 편집하기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7번째 줄: 7번째 줄:
# 고자 상 告子上 Book 6, Part 1. Kâo Tsze 고자 하 告子下 Book 6, Part 2. Kâo Tsze
# 고자 상 告子上 Book 6, Part 1. Kâo Tsze 고자 하 告子下 Book 6, Part 2. Kâo Tsze
# 진심 상 盡心上 Book 7, Part 1. Tsin Sin 진심 하 盡心下 Book 7, Part 2. Tsin Sin
# 진심 상 盡心上 Book 7, Part 1. Tsin Sin 진심 하 盡心下 Book 7, Part 2. Tsin Sin
== 배병삼 역주 ==
<nowiki>
; 1권
읽기 전에 - 삼강과 오륜은 다르다! … 14
제1편 양혜왕 상 梁惠王上
1:1. 하필왈리! … 47
1:2. 오직 여민! … 71
1:3. 위민은 없다 … 77
1:3-1. 오십보백보 … 77
1:3-2. 왕도의 시작 … 82
1:4. 기아와 살인은 ‘한 칸의 사이’ … 90
1:5. 여민만이 강국을 만든다 … 99
1:6. 통일천하의 전망 … 105
1:7. 정치란 선한 마음을 널리 펴는 일이다 … 111
1:7-1. 돌이켜 마음을 보라 … 111
1:7-2. ‘하지 않는 것’과 ‘할 수 없는 것’ … 119
1:7-3. 연목구어 … 126
1:7-4. 확충의 어려움 … 136
제2편 양혜왕 하 梁惠王下
2:1. ‘홀로 즐기기’ 대 ‘함께 즐기기’ … 147
2:2. 여민동락 … 156
2:3. 여국동락 … 161
2:3-1. 다원주의 국제 체제론 … 161
2:3-2. 혁명의 권유 … 169
2:4. 여민주의가 곧 왕도다 … 179
2:5. 고독의 구제가 왕정의 급선무다 … 186
2:6. 공직은 책임이다 … 196
2:7. ‘백성의 눈’으로 정치하라 … 200
2:8. 역성혁명론의 기원 … 208
2:9. 가르치려는 군주가 나라를 망친다 … 214
2:10. 인민의 소리가 하늘의 소리다 … 219
2:11. 아! 동아시아 2000년 역사가 결정되다 … 223
2:12. 나라의 존망이 여민주의 리더십에 달렸다 … 230
2:13. 소국의 살길도 여민뿐이다 … 236
2:14. 선한 정치, 좋은 나라 … 238
2:15. 땅이 아니라 사람이다 … 244
2:16. 눈으로 보고도 믿지 못한 죄 … 249
제3편 공손추 상 公孫丑上
3:1. 덕은 정치력이다 … 261
3:2. 마음, 호연지기 그리고 언어 … 269
3:2-1. 폭력의 시대, 용사의 조건 …270
3:2-2. 용사에서 선비로 … 279
3:2-3. 호연지기는 정치의 동력이다 … 290
3:2-4. 말을 알면 마음을 알고 사람을 안다 … 299
3:2-5. 성인, 공자 … 305
3:3. 왕도 대 패도 … 315
3:4. 왕도 정치의 출발: 사람을 알고 쓰기 … 323
3:5. 왕도의 정치경제학 … 329
3:6. 마음의 정치학 … 336
3:7. 선택이 중요하다! … 346
3:8. 여민 정치는 대화 정치다 … 354
3:9. 공자를 다시 기리다 … 363
제4편 공손추 하 公孫丑下
4:1. 병가에 반대한다 … 375
4:2. 모든 전제권력에 반대한다 … 382
4:3. 맹자, 농락당하다 … 398
4:4. 공직은 위탁받은 권력이다 … 402
4:5. 맹자는 행정 관리가 아니었다 … 410
4:6. 함께하지 못할 자 … 414
4:7. 묵가는 들어라! … 421
4:8. 국가는 사유물이 아니다 … 429
4:9. 비부의 짓거리 … 435
4:10. 독점 방지가 정치의 역할이다 … 442
4:11. 번지수를 잘못 찾았네! … 449
4:12. 소인의 눈, 현자의 눈 … 452
4:13. 그때나 지금이나 다 같다 … 457
4:14. 맹자, 공밥 먹은 적 없다 … 463
제5편 등문공 상 滕文公上
5:1. 맹자의 정치적 비전: 성선과 선국 … 471
5:1-1. 성선과 요순 … 471
5:1-2. 독한 약 … 477
5:2. 의례의 정치력 … 485
5:3. 여민의 제도적 표현 … 496
5:4. 신농학파와의 여민 논쟁 … 513
5:4-1. 분업인가, 지배인가 … 513
5 :4-2. 정치가의 일, 농사꾼의 일 … 533
5:4-3. 전향과 배신 사이 … 545
5:4-4. 시장이란 무엇인가 … 553
5:5. 묵가 대 유가 … 564
; 2권
제6편 등문공 하 滕文公下
6:1. 도덕성은 효율성으로 측정할 수 없다 … 11
6:2. 대장부론 … 22
6:3. 추천 없이 벼슬해서는 안 된다 … 28
6:4. 지식인의 가치 … 39
6:5. 제자 만장과의 만남 … 46
6:6. 혼자로는 안 된다 … 54
6:7. 추천 없는 출세의 말로 … 58
6:8. 급선무는 급급하게 … 65
6:9. 두려움으로 공자와 소통하다 … 70
6:10. 양주학파 비판 … 86
제7편 이루 상 離婁上
7:1. 마음만으로는 부족하고, 법은 스스로 작동하지 않는다 … 99
7:2. 왕도는 정치의 유일한 모델이다 … 110
7:3. 인하면 흥하고, 불인하면 망한다 … 114
7:4. 내 탓이로소이다, 내 탓이로소이다 … 117
7:5. 가까운 데서 먼 곳으로 … 121
7:6. 정치의 쉬운 길 … 125
7:7. 지금은 전복적 상상력이 필요한 때! … 127
7:8. 운명은 자초하는 것이다 … 134
7:9. 여민하면 천하를 줍는다! … 138
7:10. 자포・자기 … 147
7:11. 가깝고 쉬운 데 길이 있다 … 154
7:12. 『대학』・『중용』의 원형 … 157
7:13. 번쩍하는 한순간 … 162
7:14. 맹자의 증오 … 166
7:15. 군주의 신하 관찰법 … 173
7:16. 신하의 군주 관찰법 … 175
7:17. ‘소피스트’와의 첫 번째 대결 … 178
7:18. 자식을 바꿔 가르치는 까닭 … 185
7:19. 부모의 뜻을 무조건 따른다고 효자가 아니다 … 194
7:20. 맹자 정치학의 딜레마? … 201
7:21. 남의 비평에 휘둘리지 말라 … 207
7:22. 말을 함부로 하는 까닭 … 209
7:23. 스승 되기 좋아하는 버릇 … 211
7:24. 까칠한 맹자 … 213
7:25. 악정자의 잘못 … 216
7:26. 후사를 끊는 것이 가장 큰 불효다 … 218
7:27. 몸으로 느끼면 즐거움은 저절로 피어난다 … 222
7:28. 효도를 수립한 순임금 … 227
제8편 이루 하 離婁下
8:1. 맹자, 왕도의 계보를 발견하고 탄식하다 … 235
8:2. ‘정치가의 사랑’과 ‘사랑의 정치’는 다르다 … 239
8:3. 상명하복은 정치가 아니다! … 245
8:4. 권한이 없으면 책임도 없다 … 253
8:5. 군주의 덕성에 나라의 성패가 갈린다 … 256
8:6. 껍데기는 가라! … 258
8:7. 윗사람이 먼저 가르쳐야 한다 … 260
8:8. 올바름을 인식한 뒤에야 올바로 행할 수 있다 … 264
8:9. 돌이켜 나를 보라! … 266
8:10. 『논어』 독후감 … 268
8:11. 오직 의를 따를 뿐! … 270
8:12. 갓난아이 마음을 보존하라 … 273
8:13. 묵가에게 고함 … 277
8:14. 학문은 자득으로부터 … 282
8:15. 한마디로 요약하라 … 287
8:16. 사람의 마음을 얻어야 왕이 된다 … 291
8:17. 현자인 줄 알면서 쓰지 않은 죄, 크다! … 294
8:18. 샘이 깊은 물 … 296
8:19. 왕도를 수립한 순임금 … 300
8:20. 왕도를 계승한 우탕・문무・주공 … 305
8:21. 공자, 도통을 잇다 … 310
8:22. 맹자, 공자를 잇다 … 316
8:23. 갈라지는 틈새를 잘 보라! … 318
8:24. 스승이 제자에게 살해당한 까닭 … 320
8:25. 악인도 뉘우치면 하늘 제사를 지낼 수 있다 … 330
8:26. 당대 학술계 비판 … 334
8:27. 함께하지 못할 자 … 349
8:28. 평생 근심할 만한 일 … 352
8:29. 위하지도, 구하지도 말라 … 360
8:30. 여기 또 ‘오이디푸스’가 있었다 … 365
8:31. 신하와 스승의 길은 다르다 … 373
8:32. 성인도 평범한 사람이다 … 378
8:33. 맹자는 가부장주의자가 아니다! … 382
제9편 만장 상 萬章上
9:1. 사랑은 역설이다 … 395
9:2. 사랑은 머리로 하는 게 아니다 … 406
9:3. 순임금의 마키아벨리즘? … 421
9:4. 순임금은 선왕과 아비를 신하로 부린 적이 없다 … 429
9:5. 주권은 인민에게 있다 … 445
9:6. 왕조 체제도 인민이 선택한 것이다 … 462
9:7. 이윤론: 혁명은 인민 주권의 폭발이다 … 472
9:8. 공자도 올바르지 않으면 공자가 아니다 … 488
9:9. 충성이란 무엇인가 … 494
제10편 만장 하 萬章下
10:1. 중용의 성인, 공자 … 505
10:1-1. 성인들의 풍모 … 505
10:1-2. 집대성자, 공자 … 509
10:2. 왕정의 제도 … 519
10:3. 벗을 사귄다는 것 … 528
10:4. 절망 속에서 희망 일구기 … 535
10:5. 가난 때문에 출사하는 경우 … 555
10:6. 국가는 군주의 사유물이 아니다 … 560
10:7. 인민은 군주에게 충성할 의무가 없다 … 572
10:8. 현세에 벗이 없으면, 고전에서 찾는다 … 583
10:9. 군신 관계는 의를 공유할 때만이다 … 589
</nowiki>


== 배병삼 역주 ==
== 배병삼 역주 ==

제타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제타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