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luent Bit 문서/버퍼링 및 스토리지 편집하기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68번째 줄: 68번째 줄:
파일시스템 버퍼링이 활성화되면 엔진의 동작이 달라집니다. 청크가 생성되면 엔진은 콘텐츠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복사본을 디스크에 ([[mmap(2)]]을 통해) 매핑합니다. 새로 생성된 청크는 (1) 메모리에서 활성화되고 (2) 디스크에 백업되며 (3) up 상태("청크 내용이 메모리에 있음")가 되도록 호출됩니다.
파일시스템 버퍼링이 활성화되면 엔진의 동작이 달라집니다. 청크가 생성되면 엔진은 콘텐츠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복사본을 디스크에 ([[mmap(2)]]을 통해) 매핑합니다. 새로 생성된 청크는 (1) 메모리에서 활성화되고 (2) 디스크에 백업되며 (3) up 상태("청크 내용이 메모리에 있음")가 되도록 호출됩니다.


파일시스템 버퍼링 메커니즘은 높은 메모리 사용량과 백프레셔를 어떻게 처리할까요? Fluent Bit는 메모리에 있는 <code>up</code> 상태인 청크의 수를 제어합니다 .
파일 시스템 버퍼링 메커니즘은 높은 메모리 사용량과 백프레셔를 어떻게 처리할까요? Fluent Bit는 메모리에 있는 <code>up</code> 상태인 청크의 수를 제어합니다 .


기본적으로, 엔진은 총 128개의 청크를 메모리에 올릴(<code>up</code>) 수 있도록 허용하며, 이 값은 서비스 속성 <code>storage.max_chunks_up</code>에 의해 제어됩니다.
기본적으로, 엔진은 총 128개의 청크를 메모리에 올릴(<code>up</code>) 수 있도록 허용하며, 이 값은 서비스 속성 <code>storage.max_chunks_up</code>에 의해 제어됩니다.

제타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제타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