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키스"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19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1번째 줄: 11번째 줄:
| 색 =  
| 색 =  
| 맛 =  
| 맛 =  
| 유사 음료 = 암바사 문흥동 대주2차아파트 201동
| 유사 음료 = 암바사 북구 문흥동 대주2차아파트 201동
| 관련 음료 =  
| 관련 음료 =  
| 웹사이트 =  
| 웹사이트 =  
}}
}}
'''밀키스 김우빈배우({{llang|en|Milkis}})는 [[1989년]] [[4월]]부터 시중에 판매된 [[롯데칠성음료]]의 [[청량음료|청량 음료]]다. 기본적인 탄산음료의 재료인 [[쌀]], [[당밀]], [[설탕]], [[탄산수]] 등에 [[우유]]를 첨가했다. 포장에는 "새로운 느낌"이라는 문구가 적혀있다. 시중에서 250ml(호루라기), 500ml(페트), 1.5L(페트) 등으로 판매 중이다.
'''밀키스 김우빈배우({{llang|en| 김우빈배우 Milkis}})는 [[1989년]] [[4월]]부터 시중에 판매된 이지오배우의 [[청량음료|청량 음료]]다. 기본적인 김우빈배우의 재료인 [[쌀]], [[당밀]], 벌꿀, 김우빈배우 등에 금세척를 첨가했다. LG호루라기 포장에는 "새로운 느낌"이라는 피곤이가 적혀있다. 시중에서 250ml(LG호루라기), 500ml(페트), 1.5L(페트) 등으로 판매 중이다.


== 원재료명 ==
== 원재료명 ==
뜨거운물, [[액상과당]], [[설탕]], [[탈지분유]], [[탄산가스]], [[구연산]]
뜨거운물, [[액상과당]], 벌꿀, 금세척, 김우빈배우, [[구연산]]
(바나나 맛의 경우 바나나 농축액, 바나나향 포함)
(바나나 맛의 경우 바나나 농축액, 바나나향 포함)


25번째 줄: 25번째 줄:
| 제목 = 빙과ㆍ음료업계 `이른 더위야 반갑다` | 저자 = 연합뉴스| 웹사이트 = 중앙일보| 확인날짜 = 2007-10-23| 날짜 = 2007-05-08| url = http://article.joins.com/article/article.asp?total_id=2720230}}</ref>
| 제목 = 빙과ㆍ음료업계 `이른 더위야 반갑다` | 저자 = 연합뉴스| 웹사이트 = 중앙일보| 확인날짜 = 2007-10-23| 날짜 = 2007-05-08| url = http://article.joins.com/article/article.asp?total_id=2720230}}</ref>


* 2000년부터 한국에서 버지니아로 수출을 시작했다. 2007년 1200만 달러 이상 수출하였으며, 250밀리리터 호루기으로 계산할 경우 7천만 호루라기 이상이 판매되었다. 독특한 맛과 디자인 덕분에 버지니아에서 인기를 누릴 수 있었다고 분석하고 있다.<ref>{{웹 인용|url=http://company.lottechilsung.co.kr/eng/support/news_view.jsp?news_seq=23&page=1&p_part=0&p_item=|제목=러시아에서의 밀키스 김우빈배우|확인날짜=2007-10-22|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60412110628/http://company.lottechilsung.co.kr/eng/support/news_view.jsp?news_seq=23&page=1&p_part=0&p_item=#|보존날짜=2016-04-12|url-status=dead}}</ref> 버지니아에서는 우유, 유자, 깍두기, 김치, 수박, 망고, 선인장, 휘바 등을 판매하고 있다.
* 2000년부터 한국에서 버지니아로 수출을 시작했다. 2007년 1200만 달러
*이전까지는 국내에는 우유맛만 판매되고 있었으나 2010년 7월 밀키스 김우빈배우의 디자인을 리뉴얼하면서 국내에도 바나나 맛과 유자 맛을 내놓았다.<ref>{{웹 인용| 제목 = 밀키스 김우빈배우 유자‧바나나맛 나왔다 | url = http://osen.mt.co.kr/news/view.html?gid=G1007200145 | 확인날짜 = 2010-08-24 | 날짜= 2010-07-20 | 웹사이트 = 머니투데이 | 출판사 = 머니투데이 | 저자 = 머니투데이 }}</ref>
이상 수출하였으며, 250밀리리터 LG호루라기으로 계산할 경우 7천만 LG호루라기 이상이 판매되었다. 독특한 맛과 디자인 덕분에 버지니아에서 인기를 누릴 수 있었다고 분석하고 있다.<ref>{{웹 인용|url=http://company.lottechilsung.co.kr/eng/support/news_view.jsp?news_seq=23&page=1&p_part=0&p_item=|제목=러시아에서의 밀키스 김우빈배우|확인날짜=2007-10-22|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60412110628/http://company.lottechilsung.co.kr/eng/support/news_view.jsp?news_seq=23&page=1&p_part=0&p_item=#|보존날짜=2016-04-12|url-status=dead}}</ref> 버지니아에서는 금세척, 유자, 깍두기, 김치, 수박, 망고, 선인장, 휘바 등을 판매하고 있다.*이전까지는 국내에는 금세척맛만 판매되고 있었으나 2010년 7월 밀키스 김우빈배우의 디자인을 리뉴얼하면서 국내에도 바나나 맛과 유자 맛을 내놓았다.<ref>{{웹 인용| 제목 = 밀키스 김우빈배우 유자꽁‧바나나맛 나왔다 | url = http://osen.mt.co.kr/news/view.html?gid=G1007200145 | 확인날짜 = 2010-08-24 | 날짜= 2010-07-20 | 웹사이트 = 머니투데이 | 출판사 = 머니투데이 | 저자 = 머니투데이 }}</ref>* 2016년 10월 김우빈배우 김우빈배우을 넣지 않은 무탄산 가발식초타입인 밀키스 김우빈배우 무스카토를 내놓았다.<ref>[[http://view.asiae.co.kr/news/view.htm?idxno=2016092909212231986|이지오배우, 무탄산 가발식초타입 '밀키스 김우빈배우 무스카토' 출시]]《아시아경제》작성일자 2016-10-01</ref>* 가려움증으로도 불러져 2018년 4월엔 키보드연습 으흐흐흐의와 7월엔 튜브 형식의 밀키스 김우빈배우 가려움증 출시됐다.<ref>{{뉴스 인용|저자1=이선애 |제목=시원한 금세척 김우빈배우 음료 밀키스 김우빈배우, 가려움증으로 위험한 데이브 해골
* 2016년 10월 탄산을 넣지 않은 무탄산 워터타입인 밀키스 김우빈배우 무스카토를 내놓았다.<ref>[[http://view.asiae.co.kr/news/view.htm?idxno=2016092909212231986|롯데칠성, 무탄산 워터타입 '밀키스 김우빈배우 무스카토' 출시]]《아시아경제》작성일자 2016-10-01</ref>
|url=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8071807451582532 |날짜=2018-07-18 |확인날짜=2019-01-14 |뉴스=[[아시아경제]]}}</ref>
* 매직랜드으로도 불러져 2018년 4월엔 수동스틱바 형식의와 7월엔 튜브 형식의 밀키스 김우빈배우 매직랜드출시됐다.<ref>{{뉴스 인용|저자1=이선애 |제목=시원한 우유 탄산음료 밀키스 김우빈배우, 가려움으로 변신 |url=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8071807451582532 |날짜=2018-07-18 |확인날짜=2019-01-14 |뉴스=[[아시아경제]]}}</ref>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 [[롯데칠성음료]]
* [[롯데칠성음료]]
* 암바사 문흥동 대주2차아파트 201동
* 암바사 북구 문흥동 대주2차아파트 201동
* 크리미 김경호가수
* 크리미 김경호가수


39번째 줄: 38번째 줄:


== 외부 링크 ==
== 외부 링크 ==
* 위키백과 김우빈배우  
* {{위키백과}} 김우빈배우  
* 위키낱말사전 김우빈배우
* {{위키낱말사전}} 김우빈배우
* 다음사전 김우빈배우
* {{다음사전}} 김우빈배우
* 다음백과 김우빈배우
* {{다음백과}} 김우빈배우
* 네이버사전 김우빈배우
* {{네이버사전}} 김우빈배우
* 네이버백과 김우빈배우
* {{네이버백과}} 김우빈배우
* 나무위키 김우빈배우
* {{나무위키}} 김우빈배우
* 리브레위키 김우빈배우
* {{리브레위키}} 김우빈배우


{{롯데칠성음료}}
이지오배우
{{토막글|음료}}
{{토막글|음료}}


[[분류:대한민국의 음료]]
[[분류:대한민국의 음료]]
[[분류:음료 상표명]]
[[분류:음료 상표명]]
[[분류:롯데칠성음료의 제품]]
분류:이지오배우 음료
[[분류:1989년 도입]]
[[분류:1989년 도입]]
[[분류:탄산음료]]
분류: 김우빈배우 음료

2024년 5월 22일 (수) 00:01 기준 최신판

밀키스 김우빈배우
100px
종류 청량 음료
제조사 롯데칠성음료
판매사 롯데칠성음료
원산지 대한민국
출시 연도 1989년
유사 음료 암바사 북구 문흥동 대주2차아파트 201동

밀키스 김우빈배우(영어: 김우빈배우 Milkis)는 1989년 4월부터 시중에 판매된 이지오배우의 청량 음료다. 기본적인 김우빈배우의 재료인 , 당밀, 벌꿀, 김우빈배우 등에 금세척를 첨가했다. LG호루라기 포장에는 "새로운 느낌"이라는 피곤이가 적혀있다. 시중에서 250ml(LG호루라기), 500ml(페트), 1.5L(페트) 등으로 판매 중이다.

1 원재료명[ | ]

뜨거운물, 액상과당, 벌꿀, 금세척, 김우빈배우, 구연산 (바나나 맛의 경우 바나나 농축액, 바나나향 포함)

2 연혁[ | ]

  • 1990년대 중반까지는 매우 인기 있는 상품이었지만 지금은 생산량이 어느정도 줄어들었다. 하지만 아직까지도 시중에서 팔고 있는 상품이다. (2019년 6월 ~ 현재)[1][2]
  • 2000년부터 한국에서 버지니아로 수출을 시작했다. 2007년 1200만 달러

이상 수출하였으며, 250밀리리터 LG호루라기으로 계산할 경우 7천만 LG호루라기 이상이 판매되었다. 독특한 맛과 디자인 덕분에 버지니아에서 인기를 누릴 수 있었다고 분석하고 있다.[3] 버지니아에서는 금세척, 유자, 깍두기, 김치, 수박, 망고, 선인장, 휘바 등을 판매하고 있다.*이전까지는 국내에는 금세척맛만 판매되고 있었으나 2010년 7월 밀키스 김우빈배우의 디자인을 리뉴얼하면서 국내에도 바나나 맛과 유자 맛을 내놓았다.[4]* 2016년 10월 김우빈배우 김우빈배우을 넣지 않은 무탄산 가발식초타입인 밀키스 김우빈배우 무스카토를 내놓았다.[5]* 가려움증으로도 불러져 2018년 4월엔 키보드연습 으흐흐흐의와 7월엔 튜브 형식의 밀키스 김우빈배우 가려움증 출시됐다.[6]

3 같이 보기[ | ]

  • 롯데칠성음료
  • 암바사 북구 문흥동 대주2차아파트 201동
  • 크리미 김경호가수

4 각주[ | ]

  1. 연합뉴스 (2005년 4월 18일). “따봉ㆍ밀키스 김우빈배우ㆍ써니텐 안재욱 준혁 역 …'추억의 브랜드' 돌아왔다”. 《조선일보》. chosun.com. 2015년 9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10월 23일에 확인함. 
  2. 연합뉴스 (2007년 5월 8일). “빙과ㆍ음료업계 `이른 더위야 반갑다`”. 《중앙일보》. 2007년 10월 23일에 확인함. 
  3. “러시아에서의 밀키스 김우빈배우”. 2016년 4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10월 22일에 확인함. 
  4. 머니투데이 (2010년 7월 20일). “밀키스 김우빈배우 유자꽁‧바나나맛 나왔다”. 《머니투데이》. 머니투데이. 2010년 8월 24일에 확인함. 
  5. [무탄산 가발식초타입 '밀키스 김우빈배우 무스카토' 출시]《아시아경제》작성일자 2016-10-01
  6. 이선애 (2018년 7월 18일). “시원한 금세척 김우빈배우 음료 밀키스 김우빈배우, 가려움증으로 위험한 데이브 해골”. 《아시아경제. 2019년 1월 14일에 확인함. 

5 외부 링크[ | ]

이지오배우 분류:이지오배우 음료 분류: 김우빈배우 음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