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기덕 (1960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9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다른뜻|김기덕 (1934)}}
{{다른뜻|김기덕 (1934)}}
{{영화인 정보
|이름 = 김기덕
|원어명 =
|사진 = Kim Ki-duk at the 69th Venice International Film Festival (cropped).jpg
|사진크기 = 200px
|사진설명 = 2012년의 김기덕
|본명 =
|출생일 = {{출생일|1960|12|20}}
|출생지 = [[대한민국]] [[경상북도]] [[봉화군]]
|사망일 = {{사망일과 나이|2020|12|11|1960|12|20}}
|사망지 = [[라트비아]] [[리가]]
|다른이름 =
|국적 = [[대한민국]]
|직업 = 영화 감독, 각본가
|활동기간 = 1996년~2020년
|종교 =
|부모 =
|형제자매 =
|친척 =
|배우자 =
|자녀 =
|수상 =
|서명 =
|사망원인 = 코로나 19
}}
'''김기덕'''(金基德, [[1960년]] [[12월 20일]] ~ [[2020년]] [[12월 11일]])은 [[대한민국]]의 [[영화 감독]], [[영화 각본|각본가]], [[영화 프로듀서|프로듀서]], [[영화 배우|배우]]이다.


==개요==
== 학력 ==
;김기덕 (1960-)
* 삼애실업전수학교
*한국 영화감독
* [[총신대학교]] 신학 중퇴


[[File:Kim_Ki-duk_at_the_69th_Venice_International_Film_Festival_(cropped).jpg|180px]]
== 생애 ==
1960년 12월 20일 [[경상북도]] [[봉화군]] [[춘양면 (봉화군)|춘양면]] 서벽리에서 태어났다.<ref>{{웹 인용 |url = https://news.v.daum.net/v/20060907173507219|제목 = 봉화 금강송숲·창수전시림… 명품숲 4곳 일반에 개방|저자 = 이성원|날짜 = 2006-09-07|확인날짜 = 2012-09-12|출판사 = 한국일보}}</ref><ref>{{웹 인용|url = http://news.sportsseoul.com/read/entertain/1081734.htm|제목 = 김기덕 감독, 고향 봉화군에 플래카드 붙었다 '금의환향'|저자 = 연예팀|날짜 = 2012-09-12|확인날짜 = 2012-09-12|출판사 = 스포츠서울|보존url = https://web.archive.org/web/20120915041151/http://news.sportsseoul.com/read/entertain/1081734.htm#|보존날짜 = 2012-09-15|url-status = dead}}</ref> 초등학교 3학년 때였던 1968년에 [[경기도]] [[고양시|고양]]으로 이주하였으며, 초등학교를 졸업한 후 집안 형편이 어려워 기술을 배우라는 부친의 권유에 따라 중학교 진학을 포기했다. 전수 학교와 전자 공장을 다니며 20세까지 성장한 김기덕은 [[대한민국 해병대|해병대]]에 [[부사관]]으로 임관하여 5년 간 복무했다. 제대한 후 1986년부터 [[화가]]로 활동하였고 [[남산 (서울)|남산]]의 장애인 보호 시설에서 [[전도사]]로 일하는 동시에 신학교를 다니며 30세까지 [[서울]]에서 지냈다.


==영화==
평소 그림에 대한 생각이 남달랐던 김기덕은 [[백남준]]과 관련된 기사가 동기가 되어 31세가 되던 1990년에 [[프랑스]] [[파리 (프랑스)|파리]]로 떠났다. 1990년부터 1992년까지 3년간 프랑스와 유럽 각지를 다니며 스스로 [[회화]] 공부를 하던 중 우연히 들른 영화관에서 태어나서 처음으로 영화 《[[양들의 침묵 (1991)|양들의 침묵]](1990), 《[[퐁네프의 연인들]]》 등을 보고 영화에 대한 꿈을 꾸게 되었다.
* [[악어 (1996)]]
* [[야생동물보호구역 (1997)]]
* [[파란대문 (1998)]]
* [[섬 (2000)]]
* [[실제상황 (2000)]]
* [[수취인불명 (2001)]]
* [[나쁜 남자 (2001)]]
* [[해안선 (2002)]]


==참고==
1992년에 귀국한 뒤 《화가와 사형수》로 1993년 영상작가교육원 창작 대상, 《무단 횡단》으로 1995년 영화진흥공사 시나리오 공모 대상을 받는 등 각본가로 활동하다가 1996년작인 《[[악어 (1996)|악어]]》를 통해 자신이 직접 감독하여 영화를 만들기 시작했다. 잔인하고 어두운 영상과 내용으로 이름이 알려져 있으며, 2004년 [[베를린 국제 영화제]]에서 《[[사마리아 (영화)|사마리아]]》로,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에서 《[[빈 집 (2004년 영화)|빈 집]]》으로 연이어 감독상을 수상했다.
 
2020년 12월 11일 [[라트비아]] [[리가]]에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로 사망하였다.<ref>[https://www.donga.com/news/Culture/article/all/20201212/104409010/1 김기덕 감독, 라트비아서 코로나 입원 치료중 사망]</ref>
 
== 작품 목록 ==
* 1996년 - 《[[악어 (영화)|악어]]》(미술, 연출, 각본)
* 1997년 - 《[[야생동물 보호구역]]》(연출, 각본)
* 1998년 - 《[[파란 대문]]》(연출, 각본)
* 1999년 - 《[[섬 (2000년 영화)|섬]]》(미술, 연출, 각본)
* 2000년 - 《[[실제상황]]》(연출. 각본)
* 2001년 - 《[[수취인불명]]》(미술, 연출, 각본)
* 2002년 - 《[[나쁜 남자 (영화)|나쁜 남자]]》(연출, 각본)
* 2002년 - 《[[해안선 (영화)|해안선]]》(연출)
* 2003년 - 《[[봄 여름 가을 겨울 그리고 봄]]》(주연, 편집, 연출, 각본)
* 2004년 - 《[[사마리아 (영화)|사마리아]]》(편집, 제작, 연출, 각본)
* 2004년 - 《[[빈 집 (2004년 영화)|빈 집]]》(편집, 제작, 연출, 각본)
* 2005년 - 《[[활 (영화)|활]]》(편집, 제작, 연출, 각본)
* 2006년 - 《[[시간 (2006년 영화)|시간]]》(편집, 제작, 연출, 각본)
* 2007년 - 《[[숨 (영화)|숨]]》(조연, 연출, 각본, 제작투자, 제작)
* 2007년 - 《[[아름답다]]》(제작, 원작)
* 2008년 - 《[[비몽]]》(각본, 편집, 제작, 연출)
* 2008년 - 《[[영화는 영화다]]》(제작투자, 제작, 각본)
* 2011년 - 《[[풍산개 (영화)|풍산개]]》(투자, 제작, 각본)
* 2011년 - 《[[아리랑 (2011년 영화)|아리랑]]》(주연, 제작, 연출, 각본)
* 2011년 - 《[[아멘 (2011년 영화)|아멘]]》(제작, 연출, 각본)
* 2012년 - 《[[피에타 (영화)|피에타]]》(편집, 제작투자, 연출, 각본)
* 2012년 - 《[[배우는 배우다]]》(제작, 각본)
* 2013년 - 《[[뫼비우스 (2013년 영화)|뫼비우스]]》(제작, 연출, 각본)
* 2014년 - 《[[일대일 (2014년 영화)|일대일]]》(제작, 연출, 각본, 촬영, 편집)
* 2015년 - 《[[메이드 인 차이나 (2015년 영화)|메이드 인 차이나]]》(제작, 각본)
* 2016년 - 《[[그물 (영화)|그물]]》(연출, 각본)
* 2017년 - 《[[포크레인 (영화)|포크레인]]》(제작, 각본)
* 2018년 - 《[[인간, 공간, 시간 그리고 인간]]》(연출, 각본)
 
=== 반복하여 출연한 배우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font-size:90%;"
|- style="vertical-align:bottom;"
! 배우 !!  [[악어 (1996년 영화)|악어]] !! [[야생동물 보호구역]] !! [[파란 대문]] !! [[실제상황]] !! [[섬 (2000년 영화)|섬]] !! [[수취인불명]] !! [[나쁜 남자 (영화)|나쁜 남자]] !! [[해안선]] !! [[봄 여름 가을 겨울 그리고 봄]] !! [[사마리아 (영화)|사마리아]] !! [[빈 집 (2004년 영화)|빈 집]] !! [[활 (영화)|활]] !! [[시간 (2006년 영화)|시간]] !! [[숨 (영화)|숨]] !! [[비몽]]
|-
! [[권혁호]]
| || || || || || || {{체크표}} || || || || {{체크표}} || || || ||
|-
! [[김구택]]
| || || {{체크표}} || {{체크표}} || || || || {{체크표}} || || || || || || ||
|-
! [[김영민 (1971년)|김영민]]
| || || || || || {{체크표}} || || || {{체크표}} || || || || || ||
|-
! [[김정영]]
| || || || {{체크표}} || || || {{체크표}} || || {{체크표}} || || || || || ||
|-
! [[박정기]]
| || || || || {{체크표}} || || || || || {{체크표}} || || || || ||
|-
! [[박지아]]
| || || || || || || || {{체크표}} || {{체크표}} || || || || || {{체크표}} || {{체크표}}
|-
! [[방은진]]
| || || {{체크표}} || || || {{체크표}} || || || || || || || || ||
|-
! [[서원 (1979년)|서원]]
| || || || || {{체크표}} || || {{체크표}} || || || || || || || ||
|-
! [[서지석]]
| || || || || || || || || || || || {{체크표}} || {{체크표}} || ||
|-
! [[소재익]]
| || || || || || || || || || || || {{체크표}} || {{체크표}} || {{체크표}} ||
|-
! [[손민석]]
| || || {{체크표}} || {{체크표}} || {{체크표}} || {{체크표}} || || || || || || || || ||
|-
! [[신택기]]
| || || || || || || || || || {{체크표}} || || {{체크표}} || || ||
|-
! [[양승병]]
| || || || {{체크표}} || {{체크표}} || {{체크표}} || {{체크표}} || {{체크표}} || || || || || || ||
|-
! [[이인옥]]
| || || {{체크표}} || || || {{체크표}} || || || || || || || || ||
|-
! [[이종길]]
| || || || || || || || || || {{체크표}} || || {{체크표}} || || ||
|-
! [[이각주]]
| || || || || || || || || || || || || || {{체크표}} || {{체크표}}
|-
! [[장동직]]
| || {{체크표}} || {{체크표}} || || || || || || || || || || || ||
|-
! [[장항선 (배우)|장항선]]
| || || {{체크표}} || || {{체크표}} || || || || || || || || || ||
|-
! [[조석현]]
| || || || || || || || || || || || {{체크표}} || || {{체크표}} ||
|-
! [[조재현]]
| {{체크표}} || {{체크표}} || || || {{체크표}} || {{체크표}} || {{체크표}} || || || || || || || ||
|-
! [[지대한]]
| || || || || || || || {{체크표}} || {{체크표}} || || || || || ||
|-
! [[최민 (1974년)|최민]]
| || || || || || || || {{체크표}} || {{체크표}} || || || || || ||
|-
! [[하정우]]
| || || || || || || || || || || || || {{체크표}} || {{체크표}} ||
|-
! [[한여름]]
| || || || || || || || || || {{체크표}} || || {{체크표}} || || ||
|}
 
== 국제 상 ==
김기덕는 한국에서 세계 3 대 영화제에서 우승한 유일한 영화 제작자입니다.
 
[[파일:Cast_and_director_of_Pietà.jpg|섬네일|2012 베니스 영화제 [[이정진]], 이정진 과 [[조민수]]]]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60%;
!년
!장학금
!범주
!필름
!결과
!참고
|-
|rowspan=2|2004
|54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
|은곰 (감독상)
|''[[사마리아 (영화)|사마리아]]''
|{{won}}
|<ref name=":0">{{웹 인용|url=http://www.berlinale.de/en/archiv/jahresarchive/2004/03_preistr_ger_2004/03_Preistraeger_2004.html |title=PRIZES & HONOURS 2004|access-date=10 June 2014 |work=berlinale.de|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31015122050/http://www.berlinale.de/en/archiv/jahresarchive/2004/03_preistr_ger_2004/03_Preistraeger_2004.html| archive-date=15 October 2013 | url-status= dead}}</ref>
|-
|61회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
|[[은사자상]]
|''[[빈 집 (2004년 영화)|빈집]]''
|{{won}}
|<ref name=":1">{{웹 인용|url=http://www.labiennale.org/en/cinema/news/2004/09-11-ak.html |title=Official Awards of the 61st Venice Film Festival |work=labiennale.org |url-status=dead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040915003501/http://www.labiennale.org/en/cinema/news/2004/09-11-ak.html |archive-date=15 September 2004 |access-date=4 June 2018 }}</ref>
|-
|2011
|[[2011년 칸 영화제]]
|[[주목할 만한 시선]] 상
|''[[아리랑 (2011년 영화)|아리랑]]''
|{{won}}
|<ref name=":2">{{뉴스 인용|url=http://www.hollywoodreporter.com/news/regard-announces-top-prizes-cannes-190886 |title=Un Certain Regard Announces Top Prizes (Cannes 2011) |last=Leffler |first=Rebecca |date=21 May 2011 |work=The Hollywood Reporter |access-date=26 May 2017}}</ref>
|-
|2012
|69회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
|[[황금사자상]]
|''[[피에타 (영화)|피에타]]''
|{{won}}
|<ref name=":3">{{뉴스 인용|date=8 September 2012|title=South Korean film 'Pieta' wins Venice top prize|newspaper=Yahoo! News|agency=AP|url=https://news.yahoo.com/south-korean-film-pieta-wins-venice-top-prize-180829934.html|access-date=12 December 2020}}</ref>
|-
|2014
|71회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
|베니스 데이즈 최우수 영화상
|''[[일대일 (2014년 영화)|일대일]]''
|{{won}}
|<ref>{{웹 인용|url=http://www.venice-days.com/NEWS.asp?id=1&id_dettaglio=494&t=Collateral%20awards&lang=eng |title=Collateral awards |work=venice-days.com |access-date=3 May 2018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40906154619/http://www.venice-days.com/NEWS.asp?id=1&id_dettaglio=494&t=Collateral%20awards&lang=eng |archive-date=6 September 2014}}</ref>
|}
 
== 논란 ==
2018년 김기덕이 여성 배우들과 직원들에게 강간, 성추행, 성폭력과 폭행, 폭언 등을 일삼았다는 [[미투 운동|폭로]]가 이어졌다. 2018년 3월 6일 [[문화방송|MBC]] [[PD수첩]]에서 이 내용을 보도하였다.<ref>{{웹 인용 |url = https://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3/07/2018030700357.html|제목 = [어저께TV] 'PD수첩' 거장의 추악한 민낯?..김기덕의 의혹들|저자 = 선미경|날짜 = 2018-03-07|확인날짜 = 2020-04-12|출판사 = 조선닷컴}}</ref>
 
== 각주 ==
{{각주}}
 
== 외부 링크 ==
* {{위키백과}}
* {{위키백과}}
* {{다음백과}}
* {{다음백과}}
* {{네이버백과}}
* {{네이버백과}}
* {{IMDb 이름|1104118|김기덕}}
{{김기덕의 영화}}
{{베를린 영화제 감독 (은곰상)}}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 감독}}
{{코로나19 범유행}}


{{전거 통제}}
[[분류:한국 영화감독]][[분류:김씨]]
[[분류:한국 영화감독]][[분류:김씨]]
[[분류:1960년 출생]][[분류:경상북도 출신]]
[[분류:1960년 출생]][[분류:12월에 출생한 사람]]
[[분류:2020년 사망]][[분류:12월에 사망한 사람]]
[[분류:봉화군 출신]][[분류:1986년 데뷔]]
[[분류:20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21세기 대한민국 사람]]
[[분류:대한민국의 영화 감독]][[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영화 배우]]
[[분류:강심장의 남자 게스트]]

2023년 6월 7일 (수) 18:44 기준 최신판

  다른 뜻에 대해서는 김기덕 (1934)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김기덕

2012년의 김기덕
출생 1960년 12월 20일(1960-12-20)
대한민국 경상북도 봉화군
사망 2020년 12월 11일 (59세)
라트비아 리가
국적 대한민국
직업 영화 감독, 각본가
활동 기간 1996년~2020년

김기덕(金基德, 1960년 12월 20일 ~ 2020년 12월 11일)은 대한민국영화 감독, 각본가, 프로듀서, 배우이다.

1 학력[ | ]

2 생애[ | ]

1960년 12월 20일 경상북도 봉화군 춘양면 서벽리에서 태어났다.[1][2] 초등학교 3학년 때였던 1968년에 경기도 고양으로 이주하였으며, 초등학교를 졸업한 후 집안 형편이 어려워 기술을 배우라는 부친의 권유에 따라 중학교 진학을 포기했다. 전수 학교와 전자 공장을 다니며 20세까지 성장한 김기덕은 해병대부사관으로 임관하여 5년 간 복무했다. 제대한 후 1986년부터 화가로 활동하였고 남산의 장애인 보호 시설에서 전도사로 일하는 동시에 신학교를 다니며 30세까지 서울에서 지냈다.

평소 그림에 대한 생각이 남달랐던 김기덕은 백남준과 관련된 기사가 동기가 되어 31세가 되던 1990년에 프랑스 파리로 떠났다. 1990년부터 1992년까지 3년간 프랑스와 유럽 각지를 다니며 스스로 회화 공부를 하던 중 우연히 들른 영화관에서 태어나서 처음으로 영화 《양들의 침묵》(1990), 《퐁네프의 연인들》 등을 보고 영화에 대한 꿈을 꾸게 되었다.

1992년에 귀국한 뒤 《화가와 사형수》로 1993년 영상작가교육원 창작 대상, 《무단 횡단》으로 1995년 영화진흥공사 시나리오 공모 대상을 받는 등 각본가로 활동하다가 1996년작인 《악어》를 통해 자신이 직접 감독하여 영화를 만들기 시작했다. 잔인하고 어두운 영상과 내용으로 이름이 알려져 있으며, 2004년 베를린 국제 영화제에서 《사마리아》로,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에서 《빈 집》으로 연이어 감독상을 수상했다.

2020년 12월 11일 라트비아 리가에서 코로나19로 사망하였다.[3]

3 작품 목록[ | ]

3.1 반복하여 출연한 배우[ | ]

배우 악어 야생동물 보호구역 파란 대문 실제상황 수취인불명 나쁜 남자 해안선 봄 여름 가을 겨울 그리고 봄 사마리아 빈 집 시간 비몽
권혁호 예 예
김구택 예 예 예
김영민 예 예
김정영 예 예 예
박정기 예 예
박지아 예 예 예 예
방은진 예 예
서원 예 예
서지석 예 예
소재익 예 예 예
손민석 예 예 예 예
신택기 예 예
양승병 예 예 예 예 예
이인옥 예 예
이종길 예 예
이각주 예 예
장동직 예 예
장항선 예 예
조석현 예 예
조재현 예 예 예 예 예
지대한 예 예
최민 예 예
하정우 예 예
한여름 예 예

4 국제 상[ | ]

김기덕는 한국에서 세계 3 대 영화제에서 우승한 유일한 영화 제작자입니다.

2012 베니스 영화제 이정진, 이정진 과 조민수
장학금 범주 필름 결과 참고
2004 54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 은곰 (감독상) 사마리아 수상 [4]
61회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 은사자상 빈집 수상 [5]
2011 2011년 칸 영화제 주목할 만한 시선 아리랑 수상 [6]
2012 69회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 황금사자상 피에타 수상 [7]
2014 71회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 베니스 데이즈 최우수 영화상 일대일 수상 [8]

5 논란[ | ]

2018년 김기덕이 여성 배우들과 직원들에게 강간, 성추행, 성폭력과 폭행, 폭언 등을 일삼았다는 폭로가 이어졌다. 2018년 3월 6일 MBC PD수첩에서 이 내용을 보도하였다.[9]

6 각주[ | ]

  1. 이성원 (2006년 9월 7일). “봉화 금강송숲·창수전시림… 명품숲 4곳 일반에 개방”. 한국일보. 2012년 9월 12일에 확인함. 
  2. 연예팀 (2012년 9월 12일). “김기덕 감독, 고향 봉화군에 플래카드 붙었다 '금의환향'. 스포츠서울. 2012년 9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9월 12일에 확인함. 
  3. 김기덕 감독, 라트비아서 코로나 입원 치료중 사망
  4. “PRIZES & HONOURS 2004”. 《berlinale.de》. 2013년 10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6월 10일에 확인함. 
  5. “Official Awards of the 61st Venice Film Festival”. 《labiennale.org》. 2004년 9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6월 4일에 확인함. 
  6. Leffler, Rebecca (2011년 5월 21일). “Un Certain Regard Announces Top Prizes (Cannes 2011)”. 《The Hollywood Reporter》. 2017년 5월 26일에 확인함. 
  7. “South Korean film 'Pieta' wins Venice top prize”. 《Yahoo! News》. AP. 2012년 9월 8일. 2020년 12월 12일에 확인함. 
  8. “Collateral awards”. 《venice-days.com》. 2014년 9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5월 3일에 확인함. 
  9. 선미경 (2018년 3월 7일). “[어저께TV] 'PD수첩' 거장의 추악한 민낯?..김기덕의 의혹들”. 조선닷컴. 2020년 4월 12일에 확인함. 

7 외부 링크[ | ]

틀:베를린 영화제 감독 (은곰상)

틀:코로나19 범유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