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샴페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봇: 자동으로 텍스트 교체 (-==참고 자료== +==참고==))
3번째 줄: 3번째 줄:
;샴페인, 샹파뉴
;샴페인, 샹파뉴
* 프랑스의 샹파뉴 지역에서 생산되는 발포성 백포도주
* 프랑스의 샹파뉴 지역에서 생산되는 발포성 백포도주
* 흔히 [[백포도주]]인 [[발포성 포도주]](스파클링 와인)을 샴페인이라고 부름
* 흔히 [[백포도주]]인 [[발포성 포도주]](스파클링 와인)을 샴페인이라고 부른다.
* 유럽연합은 샴페인을 [[지리적 표시]]로
* 유럽연합은 샴페인을 [[지리적 표시]]로 본다.
:EU 내에서는 샹파뉴산만 '샴페인'으로 부르도록
:EU 내에서는 샹파뉴산만 '샴페인'으로 부르도록 한다.
:다른 나라에도 이를 지리적 표시로 보호할 것을 요구함
:다른 나라에도 이를 지리적 표시로 보호할 것을 요구한다.
* 한국은 [[한EU FTA]]에서 EU의 요구를 받아들였으나 논란 있음
* 한국은 [[한EU FTA]]에서 EU의 요구를 받아들였으나 논란 있다.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4/40/Glass_of_champagne.jpg/220px-Glass_of_champagne.jpg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4/40/Glass_of_champagne.jpg/220px-Glass_of_champagne.jpg
14번째 줄: 14번째 줄:


==같이 보기==
==같이 보기==
*[[발포성 포도주]]
* [[백포도주]]
*[[지리적 표시]]
* [[지리적 표시]]
* [[발포성 포도주]]


==참고==
==참고==

2024년 3월 18일 (월) 00:03 판

1 개요

Champagne
샴페인, 샹파뉴
EU 내에서는 샹파뉴산만 '샴페인'으로 부르도록 한다.
다른 나라에도 이를 지리적 표시로 보호할 것을 요구한다.
  • 한국은 한EU FTA에서 EU의 요구를 받아들였으나 논란 있다.

 

 

2 같이 보기

3 참고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