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luent Bit 문서/개념/버퍼"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개요== ;Buffer ;버퍼 신뢰성 있는 데이터 처리 버퍼링 개념 섹션에서 이전에 정의된대로, 파이프라인에서 buffer 단계는 기본 인메모리 모...)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5번째 줄: 5번째 줄:
신뢰성 있는 데이터 처리
신뢰성 있는 데이터 처리


버퍼링 개념 섹션에서 이전에 정의된대로, 파이프라인에서 buffer 단계는 기본 인메모리 모델 또는 파일시스템 기반 모드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하는 통합적·지속적 메커니즘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Fluent Bit 문서/버퍼링|버퍼링]] 개념 섹션에서 이전에 정의된대로, 파이프라인에서 <code>buffer</code> 단계는 기본 인메모리 모델 또는 파일시스템 기반 모드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하는 통합적·지속적 메커니즘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buffer 단계에는 이미 이뮤터블(변경불가) 상태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어, 다른 필터를 적용할 수 없습니다.
<code>buffer</code> 단계에는 이미 이뮤터블(변경불가) 상태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어, 다른 필터를 적용할 수 없습니다.


[[파일:logging_pipeline_buffer.png]]
[[파일:logging_pipeline_buffer.png]]


{{k8s note}}
버퍼링된 데이터는 원시 텍스트(raw text)가 아니며 Fluent Bit의 내부 이진 표현 데이터입니다.
버퍼링된 데이터는 원시 텍스트(raw text)가 아니며 Fluent Bit의 내부 이진 표현 데이터입니다.
{{k8s /note}}


Fluent Bit는 시스템 오류가 발생할 경우 데이터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백업 시스템 역할을 하는 파일시스템에 버퍼링 메커니즘을 제공합니다.
Fluent Bit는 시스템 오류가 발생할 경우 데이터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백업 시스템 역할을 하는 파일시스템에 버퍼링 메커니즘을 제공합니다.
==같이 보기==
* [[Fluent Bit 문서/버퍼링]]


==참고==
==참고==

2024년 4월 4일 (목) 16:45 기준 최신판

1 개요[ | ]

Buffer
버퍼

신뢰성 있는 데이터 처리

버퍼링 개념 섹션에서 이전에 정의된대로, 파이프라인에서 buffer 단계는 기본 인메모리 모델 또는 파일시스템 기반 모드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하는 통합적·지속적 메커니즘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buffer 단계에는 이미 이뮤터블(변경불가) 상태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어, 다른 필터를 적용할 수 없습니다.

Logging pipeline buffer.png

참고:

버퍼링된 데이터는 원시 텍스트(raw text)가 아니며 Fluent Bit의 내부 이진 표현 데이터입니다.

Fluent Bit는 시스템 오류가 발생할 경우 데이터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백업 시스템 역할을 하는 파일시스템에 버퍼링 메커니즘을 제공합니다.

2 같이 보기[ | ]

3 참고[ | ]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