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limit -n"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개요== {{소문자}} ;ulimit -n <syntaxhighlight lang='console'> root@wsl:~# ulimit -n 1024 </syntaxhighlight> <syntaxhighlight lang='console'> $ ulimit -n 1048576 </syntaxhighli...)
 
 
2번째 줄: 2번째 줄:
{{소문자}}
{{소문자}}
;ulimit -n
;ulimit -n
* 사용자 프로세스가 열 수 있는 파일 디스크립터의 최대 개수를 확인하는 명령어
* 일반적으로 파일 디스크립터 수는 시스템 리소스와 관련이 있으며, 이를 적절히 설정함으로써 파일 핸들링과 관련된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syntaxhighlight lang='console'>
<syntaxhighlight lang='console'>
7번째 줄: 9번째 줄:
1024
1024
</syntaxhighlight>
</syntaxhighlight>
<syntaxhighlight lang='console'>
<syntaxhighlight lang='console'>
$ ulimit -n
$ ulimit -n

2024년 4월 12일 (금) 10:12 기준 최신판

1 개요[ | ]

ulimit -n
  • 사용자 프로세스가 열 수 있는 파일 디스크립터의 최대 개수를 확인하는 명령어
  • 일반적으로 파일 디스크립터 수는 시스템 리소스와 관련이 있으며, 이를 적절히 설정함으로써 파일 핸들링과 관련된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root@wsl:~# ulimit -n
1024
$ ulimit -n
1048576

2 같이 보기[ | ]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