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현행 인쇄본 백과사전에 관한 분석적 연구

1.1.1.3 (토론)님의 2015년 1월 2일 (금) 22:33 판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 거북이 2003-12-19 3:46 pm

<html> None</html>

<META HTTP-EQUIV="content-type" CONTENT="text/html; charset=EUC_KR"> <META NAME="GENERATOR" CONTENT="HTML document by Hwpw 97"> 한국의 현행 백과사전에 관한 평가적 연구</TITLE> </HEAD>

<A NAME="[문서의 처음]"></A>한국의 현행 인쇄본 백과사전에 관한 분석적 연구

An Analytic Study of the Current Korean printed Encyclopedia

김 문 영 (Moon-Young Kim)*

박 준 식 (Joon-Shik Park )**

Ⅰ. 서론 나. 권위 Ⅱ. 백과사전의 평가이론과 평가요소 다. 접근성 1. 평가이론 라. 기술형식 2. 평가요소 마. 형태적 특징 Ⅲ. 현행 백과사전의 분석과 평가 바. 특징과 가격 1. 대상자료의 선정 Ⅳ. 결론 2. 분석과 평가 참고문헌 가. 목적과 범위

초 록 본 고는 최근 우리 나라에서 출판·유통되고 있는 일반 인쇄본 백과사전을 실증적으로 분석·평가함으로써 독자나 사서가 우수한 백과사전을 선택하는데 도움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평가방법은 우리 나라에서 1993년 이후부터 발간, 유통되고 있는 일반 인쇄본 백과사전 중에서 4종을 선정하여 6가지의 평가범주와 세부적 평가요소에 따라 분석·평가하였다. 특히, 분석 부분에서는 백과사전 출판의 오랜 역사를 지닌 미국의 우수한 일반 인쇄본 백과사전 중에서 4종을 골라 비교하고 분석하는 보완적 자료로 응용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intends to analyze the general printed encyclopedia published and circulated in Korea. The main purpose of it is to offer extensive information helping users or librarians to select superior encyclopedia. 4 printed encyclopedia published and circulated in Korea since 1993 are selected for this purpose And they are analyzed on the basis of 6 evaluation standards(purpose & scope, authority, accessibility, clarity & readability, format and special features & cost). Especially, 4 printed encyclopedia among the best American encyclopedia having long history were also co-analyzed to certificate the validity of the evaluative standards.
--------- * 계명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강사 ** 계명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

Ⅰ. 서 론

백과사전은 도서관이나 가정에서 의문점에 대한 사실확인이나 일반적인 배경정보를 조사하는데 중요한 참고정보원으로 알려져 있다. 사실, 서구에서는 가정에서 반드시 갖추어야 할 두 권의 책으로 성경책과 백과사전을 꼽고 있다. 한 통계 자료에 따르면, 선진국 가정의 80%가 백과사전을 소장하고 이를 학습의 중요한 기초자료로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우리 나라에서도 최근 교육부의 2002년 교육개혁 등 교육환경의 변화로 백과사전의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면서 백과사전의 구입이 작년보다 2배 증가하였다고 한다. 이렇듯, 백과사전에 대한 관심이 커지는 만큼 수적인 증가도 더욱 가속화하고 있다. 특히, 기술의 발달은 전통적인 인쇄본 백과사전의 내용을 바탕으로 한 형태적 변화 즉 CD-ROM, 온라인, 인터넷 백과사전 등으로 더욱 다양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시점에서 우리 나라의 백과사전에 관한 연구는 백과사전의 역사적 고찰(박준식, 1983; 강혜영, 1986; 이승우, 1988)과 백과사전의 평가를 위한 평가요소 제시(박준식, 1988; 노옥순, 1994; 박준식, 김문영, 1999) 등을 논문이나 단행본의 일부분에서 다루고 있을 뿐 실제로 백과사전을 분석·평가한 자료는 전무한 실정이다. 또한, 백과사전을 전문적으로 서평한 백과사전 전문 서평지도 존재하지 않는다. 미국의 경우 Kister의 Kister's Best Encyclopedias, Sader와 Lewis의 Encyclopedias, Atlases & Dictionaries 등의 전문 평가서와 Booklist, Choice, American Reference Books Annual(ARBA)등의 서평지에서 실제 백과사전들에 대한 구체적인 서평이 이루어지고 있어 도서관이나 이용자가 우수한 백과사전을 선택, 구입하는데 도움을 주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현재 출판, 유통되고 있는 인쇄본 백과사전 중에서 일반 백과사전만을 평가요소에 따라 구체적으로 평가, 분석해보고자 한다. 특히, 짧은 기간동안 급속히 성장해온 우리 나라의 백과사전을 분석하기 위한 표본으로 오랜 역사를 가진 미국의 우수한 백과사전들을 참고자료로 활용함으로써 우리 나라 백과사전의 현 상황을 조명해 보고자 한다. 이와 같은 작업은 독자에게는 우수한 백과사전의 선택을 용이하게 해주고, 사서에게는 우수한 백과사전을 평가하고 선택할 수 있는 능력을 부여함과 동시에 정보서비스의 효율성과 백과사전 구입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백과사전 제작·출판업자들에게는 보다 경쟁력 있는 백과사전을 제작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 백과사전 중에서 성인용 완전판 백과사전을 분석하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따라서, 즉답형 질문에 답하기 위한 정보 중심의 백과사전과 주제별 백과사전에 대한 분석은 제외되었음을 밝혀둔다.

Ⅱ. 백과사전의 평가이론과 평가요소
1. 평가이론 백과사전에 관한 연구는 백과사전의 출판 역사만큼이나 오래된 것으로 짐작된다. 백과사전에 대해 저술된 내용을 살펴보면, 대개 역사적인 관점과 백과사전의 선택과 구입을 위한 평가기준의 분석으로 나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백과사전의 구입과 선택을 위한 분석, 평가가 주된 목적이므로 본 연구와 관련 있는 연구들만으로 국한하여 개관해 보았다. James I. Wyer(1930)는 단지, 참고도서 전반을 평가하기 위한 기준의 일부로써 백과사전의 평가기준을 소개하고 있다. 그러다, Louis Shores(1954)에서부터 백과사전만을 위한 평가기준이 제시되었다. 이 평가기준은 1930년에서 1948년까지 Subscription Book Bulletin에 게재된 백과사전의 서평 기사를 발췌, 재편한 것으로 권위, 범위, 배열, 표현법, 채재, 특징 등을 평가요소로 제시하였다. Cheney와 Williams(1980)는 백과사전의 평가기준을 편집자와 범위로 대별하여 비교적 학구적인 접근을 하고 있다. 특히, 편집자의 자질과 편집위원회의 역할, 기고자 그리고 공헌자의 역할에 대해 잘 언급하고 있다. Kister(1981)는 올바른 백과사전을 고르기 위한 12가지의 평가요소와 판매정보를 기술한 다음, 인쇄본 백과사전을 12가지의 평가요소에 따라 실증적으로 평가하고 있다. 또한, Kister(1994)는 저서에서 백과사전 선택과 구입 시 고려되어야 할 평가 사항들을 15가지로 더욱 세분화 시켰으며, 출판된 인쇄본 백과사전뿐만 아니라, 전자 형태의 백과사전에 관해서도 평가하고 있다. Sader와 Lewis(1995)는 백과사전을 구입할 때 고려해야 할 9가지 항목을 기술하고 있으며, Whiteley(1996)도 12가지 평가 항목을 제시하고 있다. Katz(1997)는 백과사전의 최근경향을 기술함과 동시에 주요 백과사전을 이용 연령층별로 구분하여 서평하고 있다. 특히, 형태가 각기 다른 인쇄본과 CD-ROM 및 온라인 백과사전의 특성을 비교하고 있다. Bopp과 Smith(1995)도 Katz와 유사한 방법으로 소개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박준식의 『참고조사론』(1983, 1989)과 노옥순(1994)의 『참고봉사와 참고정보원』에서 백과사전의 평가요소를 제시하고 국내·외의 주요 백과사전에 대한 개요를 기술하고 있다. 또한, 최근에 발표된 박준식, 김문영의 "인쇄본 백과사전의 평가요소 분석" 에서는 인쇄본 백과사전의 평가요소를 목적과 범위, 권위, 접근성, 기술형식, 형태적 특징, 특징과 가격 등 6가지로 나누어 분석하고 있다. 이상의 백과사전에 관한 평가이론들을 살펴보면, 각기 다른 구분 기준을 가지고 있는 듯하나 전체적으로 보면 대부분 유사한 평가기준을 제시하고 있으며, 단지 '평가요소를 얼마나 세분화하였는가'의 차이 뿐이다.

2. 평가요소 백과사전의 평가요소에 대해서는 위에서 논술한 것처럼 여러 견해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다양한 견해들에 대해서 분석하고 체계화시킨 박준식, 김문영의 "인쇄본 백과사전의 평가요소 분석"에서 제시한 6가지의 평가요소들과 그에 따른 각 평가항목별 구체적 사항들을 기준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평가요소별 구체적 사항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목적과 범위: 편찬 목적이 지식의 체계적 전달에 있는가, 단편적 정보제공에 있는가, 아니면 양자의 조합방식인가, 취급 범위는 국제적인가, 자국 중심인가? 주된 독자(일반 성인용, 청소년용, 전문가용 등)를 명시하는가, 내용의 깊이는 독자수준과 일치하는가 등을 평가한다. 권위: 편집진·집필진·출판사의 권위를 평가한다. 또한, 백과사전 출판의 역사와 계보, 후원 기관의 명성도 확인한다. 기사의 신뢰성(정확성)은 권위의 주요 요소이며, 이를 입증하는 서명, 서지의 포함여부와 서평지의 평가내용도 확인한다. 접근성: 항목채택(대·중·소항목)의 방법과 적절성, 그리고 항목 형식과 배열방법, 색인, 상호참조 형식과의 상관성을 평가한다. 그리고 색인의 풍부함과 적절성 및 색인방법의 다양성을 확인한다. 아울러 상호참조는 '∼보라참조,' '∼도보라참조,' '∼의 아래를 보라참조' 등 다양한 형식을 쓰고 있는가, 여백주기나 러닝 타이틀을 활용하고 있는가를 평가한다. 기술형식: 표현형식은 표현의 명확성(어휘선택, 문장과 문체)과 독자 수준(청소년용, 성인용, 전문가용)의 적합성 그리고 전체적인 일관성을 평가한다. 논쟁점이 있는 주제에 대해 항목을 선택하고 기술하며 지면을 할당하는데 있어서 객관성을 가지고 있는가를 평가한다. 최신성은 기사의 최신성, 개정판, 갱신판, 보유판, 연감의 발행 여부와 기간을 평가한다. 형태적 특징: 인쇄본과 온라인· CD-ROM· 인터넷 등의 전자백과사전을 발행하는가, 책의 물리적 형태 즉, 제본·레이아웃·용지나 활자체 등이 적절한가, 삽도와 지도는 풍부하며, 정교함과 정확성, 최신성, 그리고 선명도와 흑백과 천연색의 비율 등이 적절한가, 삽도와 지도는 본문 내용과 일치하며, 위치가 적절한가 등을 평가한다. 특징과 가격: 신판, 개정판의 여부, 개정판이라면 구판과 구별되는 요소, 개정의 정도 그리고 다른 저작과 비교한 강조점을 밝힌다. 가격의 평가요소는 정가와 판매가의 차이, 경쟁사와의 가격 비교, 장서판과 보급판 비교 등을 평가한다.



Ⅲ. 현행 백과사전의 분석과 평가

1. 대상자료의 선정 본 연구에서는 현재 출판, 유통되고 있는 인쇄본 백과사전을 실증적으로 분석·평가하였다. 분석 대상 자료는 1993년 이후부터 발간, 유통되고 있는 우리 나라의 주요한 일반 인쇄본 백과사전 중에서 완전판 백과사전인 ①『21세기 학원세계대백과사전』(학원백과) ② 『두산세계대백과사전』(두산백과) ③『브리태니커세계대백과사전』(브리태니커) ④『파스칼세계대백과사전』(파스칼) 등 4종을 선택하였다. 그 중 B회사에서 출판된『세계대백과사전』은 발간된 출판사의 주소가 불명확하며, 발행된 백과사전의 상태 또한 조잡하여 평가 대상자료로서는 부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어 분석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우리 나라의 백과사전을 분석하기 위한 평가 항목별 표본으로 미국에서 발행된 주요 현행 인쇄본 백과사전들 중에서 ① Compton's Encyclopedia and Fact-Index (Compton's) ② The Encyclopedia Americana (Americana) ③ The New Encyclopaedia Britannica (Britannica) The World Book Encyclopedia (World Book) 등의 4종을 선정하였다. 선정 기준은 미국의 백과사전 평가서로서 널리 알려진 Kister의 Kister's Best Encyclopedias에서 우수한 백과사전으로 평가된 인쇄본 백과사전 4종을 선택하였다. (백과사전에 대한 표기는 약칭으로 대신하며, 서지사항은 참고문헌에 부기함.)
2. 분석과 평가
가. 목적과 범위 1) 주된 독자(일반 성인용, 청소년용, 전문가용)의 명시 백과사전의 주된 독자는 대개 서문에 명시된다. 이에 명시된 내용을 기준으로 분석해 본 결과, 대부분의 백과사전들이 초등학교에서 고등학교까지, 초등학교 이상, 또는 독자수준을 명시하지 않았다. 이는 대체로 폭넓은 독자층을 대상으로 편집되었음을 말해주며, 이러한 상황은 미국의 백과사전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표 1>

〈표1〉목적과 범위


백과사전

목 적

범 위

연령수준

권수/페이지수

항목수

성 격

전 항목/

자국 관련 항목

학원백과

초등학생 이상

31/약20,770

약120,000

학습보조용

114/74

두산백과

초등-고등학생

30/19,200

128,200

학습보조용

99/53

브리태니커

-

27/약18,900

약110,000

참고용

69/44

파스칼

초등-고등학생

31/18,140

약100,000

학습보조용

101/74

Compton's

초등-고등학생

26/34,596

34,596

학습보조용

30/6

Americana

고등학생-일반인

30/26,740

52,000

참고용

74/26

Britannica

학생-전문가

32/31,919

64,128/672

교육·참고용

130/56

World Book

초등학생-일반인

22/12,000

약17,000

학습보조용

46/32



2) 편찬목적과 성격 편찬목적과 성격은 백과사전의 항목수를 결정하는 주요한 요소가 된다. 대개 지식의 체계적 전달을 목적으로하는 백과사전은 교육용이나 학습보조용으로 대항목, 중·소항목들을 병용하여 선택한다. 그러나, 단편적 정보제공을 목적으로 하는 백과사전은 참고용으로 중·소항목 중심의 간략한 기술형식을 채택하게 된다. <표 1>에서 보듯이 우리 나라의 백과사전은 대개 10만 항목 이상으로 중·소항목 중심의 단편적 정보제공을 목적으로 하는 백과사전이 주종을 이룬다. 그러나, 백과사전 서문에서는 대항목, 중·소항목을 병용하는 학습보조용으로 기술하고 있다. 이러한 점은 광범한 독자층을 구성하려는 판매전략의 일부로 생각된다. 미국의 백과사전 중에서 Britannica(Micropaedia 64,128항목, Macropaedia 672항목)는 대항목과 중·소항목을 병용하여 교육 및 참고용의 성격을 모두 충족시켜 주고 있다. <표 1>
3) 적용범위 국내·외를 막론한 대다수의 백과사전들은 기본적으로 자국 중심의 적용범위를 지향한다. 그러나, 그 중에서도 어느 부분에 더 강조점을 두었는지를 조사한 결과, 『브리태니커』(17권 352-372)는 전체 113항목 중에서 한국 관련 항목이 69항목, 비 한국 관련 항목이 44항목으로 한국관련 항목이 많았으며, 특히 비 한국 관련 항목 중에서도 중국(10항목)관련 항목이 가장 많은 항목 수를 차지하였다. 이 외의 조사 대상 백과사전들도 이와 유사한 결과를 보임으로써 우리 나라의 백과사전은 자국 중심과 동양관련 항목 중심으로 기술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미국의 백과사전도 기본적으로는 자국 중심의 범위를 지향하고 있으나, 우리 나라에 비한다면 다소 국제적이라 볼 수 있다. 예를 들면, Britannica(Micropaedia 3권, 440-465쪽)는 전체 130항목 중 미국 관련항목은 56항목, 미국 외의 항목은 74항목이며, 비 미국 관련 항목 중에서 영국(15항목)관련 항목이 가장 많은 수를 가치하고 있다. <표 1>


나. 권 위 1) 출판 역사 조사대상 백과사전의 출판 역사를 평가하기 위해서 이들이 출판된 초판년도와 출판년도를 비교해본 결과, 우리 나라의 백과사전은『두산백과』만이 80년대에 초판이 출판 되었으며, 그 외 백과사전들은 모두 1993년 이후에 출판된 것으로 비교적 짧은 역사를 가지고 있다. <표 2>에 조사된 미국의 백과사전 중에서 Britannia는 1768-71년, Americana는 1829년, World Book은 1912년, Compton's1922년으로 길게는 약 200년, 짧게는 약 80년 정도의 역사를 자랑하고 있다. <표 2>
2) 편집진 및 기고자의 권위 기고자 리스트의 수록여부와 공헌자의 수, 편집자의 책임 명시 여부 등을 조사하여 편집진 및 기고자의 권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기고자 리스트는『파스칼』을 제외한 모든 백과사전에 기재되어 있다. 공헌자수는『두산백과』가 3,800명,『브리태니커』가 1,955명이고 『학원백과』는 신문광고에서는 "4,000여명의 학자 및 전문가들…"로 기술하고 있으나 『한국참고정보자료해제』에서는 "477명의 집필자 …"로 기재하고 있어 권위 및 신뢰성을 저해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미국의 백과사전은 Britannica가 6,800명, Americana는 6,500명으로 우리 나라의 백과사전에 비해 다소 많은 공헌자 수를 가지고 있다. 특히 Britannica 15판은 1만 명이 넘는 기고자와 매판마다 40명이 넘는 노벨상 수상자가 포함될 정도의 권위를 자랑한다. 편집자의 책임에 대한 명시는 모든 백과사전에 수록하고 있다. <표 2>

〈표 2〉 권 위


백과사전

권 위

신 뢰 성

출판사

초판

년도

출판

년도

기고자

리스트

공헌자수

편집책임

명시

사실의

정확성3)

인용문

기고자서명

학원백과

학원출판공사

1993

1993

477

163권 154책

두산백과

두산동아

1982

-842)

1996

3,800

163권 154책

브리태니커

브리태니커, 동아일보1)

1993

1993

1,955

163권 154책

파스칼

동서문화사

1996

1996

-

-

163권 67책

-

Compton's

Compton's Publishing Group.

1922

1993

500

약 1,500명

Americana

Grolier

1829

1993

6,500

1,500명 이상

Britannica

Encyclopaedia

Britannica

1768

-71

1993

6,800

1,515명

World Book

World Book

1917

1993

3,000

1,515/1,503

/1,517 명


1) 1998년 현재 웅진출판사로 바뀌었음. 2) 두산백과는 1982-84년에 출판한 완전판백과사전인 『동아원색대백과사전』의 개정판임. 3) 우리 나라 백과사전은 '세종실록'의 권수와 책수를 조사하고, 미국의 백과사전은 'Titanic호'의 침몰로 인한 사망자 수를 대상으로 한다.



3) 사실의 정확성과 신뢰성 사실에 대한 정확성을 평가하는 방법으로 역사 관련 항목을 대상으로 삼았다.<표 2>의 결과에 따르면, 『파스칼』을 제외하고는 모두 역사적 사실을 정확하게 기록하고 있다. 미국의 백과사전에서는 World Book이 가장 구체적으로 근거를 밝혀주고 있다. 권위와 신뢰성을 평가하는데 좋은 평가요소로써 인용문의 사용과 본문 기사의 말미에 기재된 기고자 서명을 살펴본 결과, 인용문은 모든 백과사전에서 사용하고 있으며 기고자 서명은 『파스칼』을 제외한 모든 백과사전에서 채용하고 있다. <표 2>

4) 서평지의 평가안내 백과사전의 서평은 특정 백과사전에 관한 객관적인 평가와 경쟁 백과사전간의 장·단점을 파악할 수 있어 백과사전 선택과 구입에 좋은 자료가 된다. 그러나, 우리 나라에서는 백과사전을 전문적으로 서평해 놓은 매체가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다만, 해제서로 『한국참고정보자료해제 1970-1993』이 출판되었으나, 여기에 실린 해제 내용은 서평이라기 보다는 소개에 불과하며, 간혹 『출판저널』이나 일간지 등에서 소개되는 정도이다. 그에 반해, 미국의 경우는 서론 부문에서 언급한 백과사전 전문 평가서와 서평지 등이 출판되고 있다. <표 3>은 서평지 중에서 Booklist: Reference Book Bulletin에 수록된 서평의 한 예를 수록하고 있다. 여기에 수록된 서평을 살펴보면, 대체로 내용, 용도, 특성 등을 비교적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있다. <표 3>

<표 3> 미국의 백과사전에 대한 서평

백과사전

서 평 내 용

Compton's

눈에 띄는 표지와 정확성, 최신성이 있으며, 정보 검색이 용이하다. 독자수준은 9-18세이며, 학교나 공공도서관 등에 유용하다.(1993/9/ 15/ p.175)

Americana

대개 대학의 참고자료실에 비치되는 Americana 의 주요장점은 상당히 정확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특별히 주제배경이 없는 학생들에게 깊이 있는 배경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다. 그러나, 몇몇 기사에서는 내용의 진부화가 나타난다.(1993/9/15/p178-89)

Britannica

Britannica는 학술성이 짙어 교육수준이 높은 독자들이 주로 이용하고 있으며, 광범하고 최신성있는 정보를 제외한 기사의 대부분은 분야별 최고의 전문가들에 의해 쓰여졌다. Britannica의 구성은 3부분(Propaedia, Micropaedia, Macropaedia)으로 구성되었다. Micro- paedia의 삽도수는 적으며, 대개 흑백으로 이루어져있다. 문체는 과학 기술과 관련된 기사를 제외하고는 너무나 전문적이어서 독자들이 이해하기 힘들다. 서지는 1980초반의 참고문헌 목록을 수록하고 있어 최신성이 다소 떨어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학, 공공도서관, 고등학교의 참고자료로서 활용하고있다. 이미 도서관에서는 오래 전부터 Britannica를 소장하고 있으며, 매년 출판되는 보유판과 함께 이용하고 있다. (1993/9/15/p.182)

World Book

World Book은 이미 학교, 도서관, 부모들에게 초·고등학생을 위한 좋은 참고자료로 정평이 나있으며, 미국에서 가장 잘 팔리는 단 하나의 백과사전이다. 지난 5년간 World BookAcademic American Encyclopedia와 심한 경쟁을 해왔다. 그러나 World BookNew Standard Encyclopedia, Funk & Wagnalls New Encyclopedia에 비해 정확성, 접근성, 최신성이 훨씬 뛰어나다. (1993/9/15/p.183)




다. 접근성 1) 배열방법 배열방법은 크게 항목의 자모순 배열과 주제 체계순 배열로 나눌 수 있다. <표 3>를 살펴보면, 우리 나라의 백과사전 모두는 항목의 자모순 배열을 채택하고 있다. 미국의 백과사전 경우에도 모두 항목의 자모순 배열을 사용하고 있다. 특기할 사실은 Compton'sWorld Book의 경우, 기본적으로는 알파벳순 배열을 하고 있지만, 세부적으로는 각 권마다 수록된 기사를 주제별로 분류하여 목차를 수록하고 있다. 이는 지식을 체계적으로 얻고자하는 하는 사람들에게는 유용한 접근 방법이 된다. <표 4>
2) 상호참조, 색인 백과사전 접근성에 영향을 미치는 상호참조(보라참조와 도보라 참조)와 색인의 사용여부, 색인수, 분석적 색인 이용 여부를 조사한 결과 첫째, 상호참조는 조사대상 백과사전 모두 사용하고 있다. 둘째, 색인은 『학원백과』를 제외한 모든 백과사전에서 사용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 분석적 색인은『두산백과』와 『브리태니커』만이 채택하고 있다. 색인수에 있어서는 『두산백과』가 330,000개, 『브리태니커』는 200,000개, 『파스칼』은 약 113,800개로 『두산백과』가 가장 많은 색인수를 자랑하고 있다. 미국의 조사대상 백과사전들 중에서 Britannica는 500,000개, Americana는 353,000개로 미국의 백과사전과 비교해 본다면, 우리 나라의 조사 대상 백과사전들의 색인수가 전반적으로 다소 부족한 편이다. <표 4>

〈표 4〉 배열과 접근성


백과사전

배열종류

상호참조

색인

서지

보라참조

도보라참조

색인

색인수

분석적

색인

서지

소재위치

학원백과

자모순

­

­

­

­

­

두산백과

자모순

330,000

기사말미

브리태니커

자모순

200,000

별책

파스칼

자모순

약 113,800

­

­

Compton's

알파벳순

154,000

기사말미

Americana

알파벳순

353,000

기사말미

Britannica

알파벳순

500,000

기사말미

World Book

알파벳순

150,000

기사말미



3) 서지의 사용과 소재 위치 백과사전의 접근성을 평가하는 방법으로 서지의 사용과 소재의 위치를 살펴보면, 우리 나라의 조사 대상 백과사전 중에서 『두산백과』와 『브리태니커』만이 서지사항을 기재하고 있으며, 이 중에서 『두산백과』는 기사의 말미에 『브리태니커』는 별책으로 구성하고 있다. 미국의 백과사전 경우, 조사 대상 백과사전 모두 서지사항을 기사말미에 기재하고 있다. 이렇듯, 우리 나라의 백과사전 중에서 『두산백과』가 참고문헌의 접근성 면에서 다소 우수하다고 볼 수 있다. <표 4>


라. 기술형식 1) 독자의 적합성 독자수준(청소년용, 성인용, 전문가용)의 적합성 평가를 위해 특정 기사(Titanic호)의 항목을 선택하여 한 문장이 몇 행으로 이루어졌는지 조사해 본 결과, 『두산백과』와 『브리태니커』는 4행, 『학원백과』와 『파스칼』은 7행으로 나타났다. 여기서, 우리 나라 백과사전의 대부분이 학습보조용과 참고용을 지향한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조사 백과사전 중에서『두산백과』와 『브리태니커』가 비교적 간결하고 명료한 문장의 기술방식을 구성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앞서 목적과 범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우리 나라의 조사 대상 백과사전들은 너무 다양한 독자층을 목표로 하기 때문에 독자의 적합성에 관한 측면은 평가하기 어렵다. 특기할 사항으로는 『브리태니커』를 제외한 대부분의 백과사전들은 문단의 개념을 거의 가지고 있지 않는다는 점이다. 즉, 한 항목의 내용 전체가 한 문단으로 구성된 것이다. 미국의 조사 대상 백과사전 경우는 학습보조용으로 알려진 World Book(3행), Compton's(3행)는 비교적 짧은 행으로 구성되었고, 이에 비해 독자수준이 다소 높은 Americana(7행)와 Britannica(7행)는 문장의 길이가 긴 것으로 나타났다. <표 5>
2) 기술형식이 쉽고 흥미로운가? 백과사전의 기술형식을 평가하기 위해 특정기사(Titanic호)의 기술형식을 살펴본 결과, 『브리태니커』와 『파스칼』은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 기사내용을 서두에 표현하고 있으며, 특히 『두산백과』와『브리태니커』는 삽도를 이용하여 내용을 더욱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있다. 특히, 미국의 조사 대상 백과사전 중에서 World Book에 실린 'Titanic'에 관한 기사를 살펴보면, 서두 부분에 "1912년 4월 14-15일에 영국에서 뉴욕으로 처녀항해 중이던 Titanic호는 빙산에 부딪쳐 침몰 …"에 대한 내용을 제시하고 있으며 특히, 서두에 제시된 기사의 내용과 부합되는 삽도를 제공함으로써 독자에게는 해당 기사에 대한 흥미와 이해를 동시에 갖도록 하였다. 또한, 삽도에 "세상에서 가장 안전한 배로 믿었던 '가라않지 않는' 타이태닉호는 처녀항해 중 빙산에 부딪쳐 침몰 …"이라는 간략한 해설을 기술함으로써 해당 기사에 대한 강한 흥미를 유발함과 동시에 내용의 이해를 돕기에 충분하다. 이렇듯, World Book은 의도한 독자에게 맞는 적절한 문장구조와 흥미 있는 기술형식에 대한 세심한 배려로 백과사전의 질을 한 층 더 높이고 있다. <표 5>
3) 객관성 객관성의 평가방법은 "Justin Kaplan이 Oxford Children's Encyclopedia의 '관점'에 대한 평가에서 '성(性)' 관련 기사에 마약이나 AIDS, 동성애 등과 같은 난제를 다룬 것에 대해 칭찬했다”라는 부분을 이 평가방법에 적용시켜 조사대상 백과사전의 '성'에 관한 기사에 마약이나 AIDS, 동성애에 관한 내용을 언급하고 있는지와 이 기사에 관한 참고자료가 제시되고 있는지를 조사해본 결과, 우리 나라의 조사 대상 백과사전 모두 이와 관련된 내용의 언급을 회피하고 있으며, 참고문헌은『두산백과』만이 제시하고 있다. 미국의 조사 대상 백과사전의 경우 Americana, Britannica 등은 이러한 문제에 대해 다루고 있으며 참고문헌은 조사 대상 백과사전 모두 제시하고 있다. 위와 같은 조사 결과를 문화적 차이라는 견해에서 볼 수도 있으나 백과사전의 객관성 유지 측면에서는 확고한 기준과 방침이 있음을 말해준다. <표 5>

<표 5> 기술형식

백과사전

표현의 적합성

객관성

한 문단, 에 대한

한 문장의 평균 길이1)

기술형식이 쉽고 흥미로운가?2)

'동성애' 에 관한 내용

참고문헌 제시

학원백과

20행, 7행

무/무

-

-

두산백과

18행, 4행

무/유

-

브리태니커

36행, 4행

유/유

-

-

파스칼

21행, 7행

유/무

-

-

Compton's

6행, 3행

유/유

-

Americana

9행, 5행

유/유

Britannica

15행, 5행

유/유

World Book

5행, 3행

유/유

-


1) '타이태닉 호(Titanic)'에 관한 기사의 한 문단과 문장의 평균 길이를 한다. 기재 방법은, 행수로 표기한다. 2) '타이태닉 호(Titanic)'의 본문 기사 중에서 "배의 침몰"에 관한 내용이 서문에 언급되었는가를 조사하고, 삽도의 사용 여부도 함께 표기한다.

4) 최신성 최신성의 평가방법으로는 연속개정(Continuous Revision)과 기술된 자료의 수록년도, 기사와 관련된 참고문헌의 출판년도, 연감 등의 네 가지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첫째, 우리 나라의 조사 대상 백과사전들은 체계적인 연속개정 시기를 밝히고 있지는 않지만 최신성 유지를 위한 부분적 개정은 보이고 있다. 둘째, 조사대상 기사의 수록년도에 있어서 『두산백과』(1996년판)는 1994년, 『브리태니커』(1993년판)는 1991년으로 각각 2년의 타임래그로 비교적 최근 자료를 수록하고 있다. 반면에, 『학원백과』(1993년판)는 1990년, 『파스칼』(1996년판)은 1990년으로 각각 3년과 6년의 타임래그를 가지고 있다. 셋째, 참고문헌의 출판년도는 『두산백과』(1996)가 1993년, 『브리태니커』(1993)가 1992년으로 대체로 최근 연도의 참고문헌을 제시하고 있다. 넷째, 연감은 『브리태니커』만이 매년 한해의 주요 사건, 세계 각국의 정세, 주요 인물 등에 관한 기사를 수록하여 출판하고 있다. 이와 같은 사항을 미국의 조사 대상 백과사전에 적용해 본다면 첫째, 미국의 백과사전들은 매년 한번 정도 갱신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대형 출판사들은 매년 5-10%의 자료를 갱신한다고 알리고 있다. Britannica의 경우, 매년 12%의 자료를 갱신하고 있음을 밝히고 있다. 둘째, 조사 대상 기사의 타임래그를 살펴보면, 대개 1-2년 정도로 비교적 최신의 자료를 수록하고 있다. 셋째, 조사 대상 백과사전의 참고문헌 수록년도는 6-9년 정도의 타임래그를 가지고 있다. 넷째, 연감은 백과사전 모두 발행하고 있다. 이러한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 나라 백과사전의 최신성 유지를 위한 연속적 갱신, 수록자료의 최신성, 연감 등에 대해 계속적인 관심을 기울어야 할 것이다. 최근에는 전자 백과사전의 출판으로 이러한 문제점을 어느 정도 해결하고 있다. <표 6>

<표 6> 최신성

백과사전

최신성*

갱신년도

갱신주기

최신기사

연감

참고문헌의 최신성

출판년도

참고문헌

학원백과

1993

-

1990(3)

-

1993

-

두산백과

1996

-

1994(2)

-

1996

1993(3)

브리태니커

1993

-

1991(2)

1993

1992(1)

파스칼

1996

-

1990(6)

-

1996

-

Compton's

1993

연간

1992(1)

1993

1985(8)

Americana

1993

연간

1992(1)

1993

1986(7)

Britannica

1993

연간

1991(2)

1993

1982(9)

World Book

1993

연간

1992(1)

1993

1987(6)

* 조사 대상 항목으로 우리 나라의 백과사전은 '암'에 관한 기사를 선정하고, 미국의 백과사전은 '러시아'에 관한 기사를 분석 대상으로 삼는다. 마. 형태적 특징 1) 지면의 편집 형태는 적절한가? 지면의 레이아웃을 평가하는 방법으로 첫째, 외부(한 페이지의 상, 하, 좌, 우 여백)·내부(칼럼(단)과 칼럼 사이의 여백)의 여백은 충분한가? 둘째, 칼럼 수와 행과 칼럼간의 폭은 일정한가? 셋째, 페이지 상단의 색인어 사용 여부와 표시방법은 어떠한가? 넷째, 볼드체(bold type)는 사용하고 있는가 등의 네가지 요소이다. 조사결과 전체 백과사전들이 위의 평가사항을 모두를 잘 갖추고 있으며 단지 색인어의 표시방법에 있어서 다소 다른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미국의 조사 대상 백과사전 중에서 Compton'sWorld Book은 삽도의 외부여백이 다소 좁게 나타났으나 그 외의 부분에서는 모두 잘 갖추고 있다. <표 7>

<표 7> 형태적 특징

백 과 사 전

지 면 편 집

제 본

용지

두께

전자형태

외·내부

여백

칼럼수

/행간

색인어/

표시방법1)

볼드체

활자

크기

(cm)

하드

커버

제본

선택

학원백과

넓음

3/일정

유/ ③

23⁓30

두꺼움

-

두산백과

3/일정

유/ ③

22⁓29

3)

얇음

브리태니커

3/일정

유/ ①

22⁓29

-

-

파스칼

3/일정

유/ ②

23⁓30

-

두꺼움

Compton's

좁음

2/일정

유/ ③

17⁓25

-

두꺼움

Americana

2/일정

유/ ①

17⁓27

-

Britannica

2,32)/일정

유/ ③

22⁓29

-

World Book

좁음

2/일정

유/ ②

17⁓25

두꺼움


1) 페이지 상단에 색인어의 기재 여부를 확인하고, 색인어가 표시된 경우, 각 페이지의 첫 항목과 끝 항목 첫 항목 끝 항목 중에서 해당되는 표기 방법을 숫자로 표시함. 2) Micropaedia는 3칼럼, Macropaedia는 2칼럼으로 구성됨. 3) 1997년 6월까지 장서판과 보급판으로 분리 제작했으나, 1998년 현재는 보급판만 제작함.

2) 제본 제본 상태에 대한 평가 방법으로는 첫째, 백과사전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인쇄본의 실제 크기와 둘째, 백과사전의 견고성을 유지하기 위한 하드커버의 사용여부 셋째, 제본 선택 사양 넷째, 용지의 두께 등의 네가지 요소가 있다. 그 결과 우리 나라의 조사 대상 백과사전들의 크기는 대체로 22×29, 23×30(cm)으로 제작되고 있으며, 참고로 미국의 백과사전은 17×25(27)(cm)로 비교적 작게 제작하고 있어 백과사전 이용 시 크기와 무게에 부담을 덜 느끼게 하고 있다. 둘째, 조사 대상 백과사전 모두 하드커버를 사용하고 있다. 셋째, 제본 선택사양에 있어서는 『학원백과』와 『두산백과』만이 장서판과 보급판의 가격을 제시하고 있다. 미국의 백과사전 경우에는 World Book 만이 선택 사양을 표시하고 있다. 넷째, 용지 두께에 있어서는 『두산백과』와 『브리태니커』가 비교적 얕은 용지를 사용하고 있다. 특기할 사항으로 Compton's는 본문 용지(두꺼운 코팅용지)와 색인의 용지(얕은 반투명 용지)를 각기 달리 제작함으로써 백과사전 이용의 편리성과 내구성을 함께 고려하고 있다.
3) 인쇄본, 전자본(온라인, CD-ROM, 웹)등의 다양한 형태로 발행되는가? 백과사전의 최신성과 이용의 편리성을 추구하기 위해 최근 다양한 형태의 전자본(온라인, CD-ROM, 웹)이 발행되고 있다. <표 7>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우리 나라의 조사 대상 백과사전 중에서 『두산백과』는 『두산세계대백과사전 CD-ROM』과 『두산세계대백과온라인』을 제공하고 있으며, 『파스칼』은 『한메파스칼대백과CD-ROM』과 『한메파스칼대백과온라인』 등을 제공하고 있다. 미국의 조사 대상 백과사전들은 모두 다양한 형태의 전자백과사전을 제공함으로써 최신성과 탐색의 효율성을 동시에 높이고 있다. <표 7>
4) 삽도 삽도(사진, 그림, 표, 다이어그램, 그래프)의 평가요소는 다섯 가지이다. 첫째, 각 권의 본문에 포함된 전체 삽도 수와 둘째, 본문의 칼라사용 비율 셋째, 삽도의 종류 넷째, 삽도의 위치와 제목사용 여부, 다섯째, 삽도 중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지도에 대한 평가 즉, 지도의 종류(세계지도, 주요도시, 정치, 역사, 토지)와 색인 이용여부를 별도로 조사하였다. 평가 결과 첫째, 삽도수에 있어서는『두산백과』가 43,500개로 가장 많은 삽도 수를 자랑하고 있으며, 다음으로는 『파스칼』(약 43,000개),『학원백과』(약 42,000개), 『브리태니커』(35,000 개)순으로 나타난다. 미국의 조사대상 백과사전들은 World Book(30,000개), Americana(23,000개), Britannica(23,835개), Compton's (22,500개)순으로 나타났으며, 우리 나라 백과사전에 비한다면 다소 적은 편이다. 둘째, 칼라 도판의 비율은 백과사전의 가격에 영향을 주게 되므로 삽도에 따라 칼라와 흑백 도판을 적절히 이용해야 할 것이다. 먼저, 칼라/흑백 비율면에서 『학원백과』와 『파스칼』은 거의 모든 삽도를 칼라로 제작하였다. 그에 반해,『두산백과』(칼라 35,000/흑백 8,500개)와 『브리태니커』(칼라 약9,000/흑백 약12,200개)는 위의 두 백과사전에 비해 칼라 비율이 낮은 편이다. 미국의 조사 대상 백과사전의 경우 World Book(칼라 25,000/흑백 5,000개)이 가장 많은 칼라 도판 비율을 가지고 있으나 우리 나라의 백과사전에 비하면 낮은 편이다. 다음은 칼라 비율의 적절성을 평가하기 위해 '가마타기'란 항목에 수록된 삽도 중 '손모양'을 살펴보았다. 여기서 손 모양의 경우, 굳이 칼라를 이용하지 않아도 될 것이다. 조사 결과, 『파스칼』은 칼라인데 반해 『브리태니커』은 흑백의 도판을 이용했다. 셋째, 삽도(사진, 그림, 표, 다이어그램, 그래프)의 다양성을 평가한 결과 우리 나라의 선정 대상 백과사전 모두 5종의 삽도를 수록하고 있다. 넷째, 기사를 이해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삽도의 위치와 제목 사용 면에서 우리 나라의 조사 대상 백과사전 중 『파스칼』을 제외하고는 모두 연관된 기사와 인접해 있다. 다섯째, 지도의 종수에서는 대부분이 4종을 포함하며 백과사전의 접근성과 관련있는 색인은 『브리태니커』만이 이용하고 있어 지도 색인의 이용이 현저히 부족하다. 미국의 조사 대상 백과사전 경우 지도의 종수와 지도 색인 모두 잘 갖추고 있다. <표 8>

<표 8> 삽 도

백 과 사 전

삽 도

지 도

삽도 수1)

칼라/흑백2)

종 수

위치/제목

종 수

색인

학원백과

약42,000

약 42,000

5

기사인접/유

4

-

두산백과

43,500

35,000/8,500

5

기사인접/유

4

-

브리태니커

35,000

약9,000/12,200

5

기사인접/유

5

파스칼

약43,000

약43,000

5

기사별도/유

4

-

Compton's

22,500

14,625/7,875

5

기사인접/유

5

Americana

23,000

4,600/18,400

5

기사인접/유

4

Britannica

23,835

7,150/16,685

5

기사인접/유

5

World Book

30,000

25,000/5,000

5

기사인접/유

5

1) 우리 나라의 백과사전 중에서 삽도수가 제시되지 않은 경우, 각 백과사전 중에서 무작위로 한 권을 골라 삽도수를 계산한 후, 전체 권수에 적용한다. 미국의 백과사전은 Sader, Amy의 Encyclopedia, Atlases & Dictionaries에 제시된 자료를 인용함. 2) 칼라/흑백의 수는 위와 같은 방법을 적용함.


바. 특징과 가격 1) 특 징 다른 백과사전과의 차별적 특징 즉, 백과사전의 목적과 범위, 디자인, 형태, 가격 등은 독자들의 백과사전 구입과 선택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우선, 특징 면에서 우리 나라의 백과사전은 대개 학습에 관련한 내용 즉, 과학, 시사자료의 비율을 강조하고 있다. 특히,『브리태니커』는 미국 Britannica(1993) 백과사전을 번역한 후, 한국과 동양적 관련 부문을 좀 더 추가, 보완한 것에 초점을 두었다. 미국의 백과사전 경우에는 주된 독자층에 맞는 항목 선택과 기술의 적합성, 연령에 따른 참고문헌의 차별화, 삽도와 서지의 유용성, 접근성을 높이는 배열과 목차사용, 색인 등을 차별적 요소로 제공하고 있다. <표 9>

〈표 9〉 특징

백과사전

차별적 요소

학원백과

과학분야에 40%의 지면을 할애하고, 북한관계 및 공산권 관계기사, 사진자료를 대폭 수용하고 있다.

두산백과

최신의 시사 정보와 특히, 북한자료를 수록하고 있으며, 마지막 권인 색인 로마자·한자편에서 부록으로 세계사연표와 국가지정 문화재일람 등이 수록되어있다. 전자 형태로 제공하고 있다.

브리태니커

주제범위에 있어서, Britannica에 동양 부분을 보완하고 있다. 특히, 색인 부분 중에서 인명·지명색인에 동양적 성향을 살려서 한자표기도 이루어졌다.

파스칼

주제의 내용은 첨단 과학 분야와 최신 시사정보에 비중을 두고 있다. 전자 형태로 제공하고 있다.

Compton's

독특한 사건색인(Fact-Index)이 마지막 권에 수록되어있다. 각 권의 서문에 제시된 흥미를 유발하는 질문들에 대한 해답을 본문에서 찾을 수 있게 한다.

Americana

몇 쪽에 걸친 긴 기사의 경우 기사의 맨 앞부분에 목차를 둔다.

Britannica

본문 구성에 있어서, 참조용: Micropaedia(12권), 교육용: Macropaedia(17권), 색인용: Propaedia(2권) 등 3부분으로 구성된다.

World Book

"Additional Resources"이라고 불리는 참고자료 목록은 Level 1(초등-중학생)과 Level 2(고등학생-일반인)로 나누고 있다. 또한, 전 지면의 1/3을 삽도로 구성하고 있다.



2) 가 격 가격 즉, 정가, 판매가, 공급가의 비교와 제본형태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고자 한다. 첫째, 가격에 있어서 우리 나라 백과사전의 정가, 판매가 공급가간의 가격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특히, 정가와 판매가는 아주 큰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구입자와 판매자간의 가격절충도 가능하여 정확한 판매가를 알기란 어렵다. 예를 들면 『파스칼』의 경우, 정가는 1,680,000원, 판매가는 680,000원으로 무려 60% 이상 절하된 가격으로 판매되며, 판매상과의 가격절충도 가능했다. 또한, 공급가는 852,800원(C도서관)으로 조사되었다. 미국의 경우, 우선 우리 나라와는 다소 다른 도서 가격체제를 가지고 있다. 즉, 정가의 경우 도서에 표기되지 않고, 매년 출판사가 고시하는 가격에 의해 정해지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정가와 판매가를 동일한 의미로 볼 수 있다. 조사 대상 백과사전을 살펴보면, 정가와 공급가의 차이가 크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판매가 보다 공급가가 다소 높게 나타난 것은 도서관에 공급되는 백과사전이 장서판이기 때문이다. 둘째, 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제본의 형태로는 보급판과 장서판으로 나눌 수 있다. 1994년『출판연감』에 제시된 제본 형태별 가격을 살펴보면, 『학원백과』의 보급판(1,298,000원), 장서판(1,380,000원)으로 나타났으며, 인터넷 서점에서는 1997년 6월에 출시된 『두산백과』의 장서판(1,300,000원), 보급판(990,000원)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미국의 백과사전 중에서 World Book은 (Imperal: $899, Majestic: $649, Diplomat: $649 , Traditional: $599) 등 4가지의 다양한 제본형태를 제시하고 있다. <표 10>

〈표 10〉 가격 (단위: 미국-$, 국내-원)

백과사전

가격

제본형태에 따른 가격

정가1)

판매가2)

공급가3)

학원백과

1,298,000

-

1,168,000

1,298,000 - 1,380,000

두산백과

1,350,000

1,300,000-550,000

1,302,000

(1,105,000)

1,300,000 - 990,000

브리태니커

1,520,000

1,368,000

1,216,000

-

파스칼

1,680,000

680,000

852,800

-

Compton's

395

395

395

-

Americana

1,168

1,168

1,168

-

Britannica

1,194

1,194

1,299

-

World Book

599

599

절충가능

599 - 899


1) 정가는 표지에 기재된 가격을 말함. 2) 판매가는 개인이 구입할 때 지불하는 실제 가격을 말함. 3) 공급가는 학교나 공공도서관에서 지불하는 가격을 말함.




6. 결 론
이상에서 현재 출판·유통되고 있는 우리 나라의 인쇄본 일반백과사전 4종을 ①목적과 범위 ②권위 ③접근성 ④기술형식 ⑤형태적 특징 ⑥특징과 가격 등의 여섯 가지 범주로 나누어 각각의 평가요소에 따라 분석·평가하였다. 각 평가요소별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목적과 범위: 우리 나라 백과사전들은 주된 독자층을 명시하기 보다 광범한 연령층을 대상으로 편찬하여, 백과사전의 편찬목적과 성격에 따른 항목선정에 있어서는 거의 상관성을 가지지 않는다. 또한, 적용범위에 있어서는 모든 백과사전들이 한국과 동양적 부문을 강조하는 편집방향을 추구하고 있다. 2) 귄위: 백과사전의 역사는『두산백과』를 제외한 대부분이 1993년 초판된 것으로 비교적 짧은 역사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기고자 리스트, 본문 기사 말미의 기고자 서명, 조사 사실에 대한 정확성 등에 있어서는 『파스칼』을 제외하고는 모두 갖추고 있다. 편집자의 책임에 대한 명시는 모두 수록하고 있다. 공헌자의 수적인 면에서는 미국의 조사 대상 백과사전에 비해 낮은 편이며, 전문 서평지가 없기 때문에 백과사전간의 객관적인 특성 비교가 어렵다. 3) 접근성: 우리 나라의 백과사전은 모두 항목의 자모순 배열을 채택하며, 접근성을 높여주는 상호참조를 모두 채택하고 있다. 그러나 색인수는 전반적으로 부족하여 본문의 접근성을 제한하는 요인이 된다. 분석적 색인의 이용은 『학원백과』를 제외하고는 모두 채용하여 체계적인 검색을 지원하고 있다. 4) 기술형식: 우리 나라의 백과사전은 독자수준에 따른 문장구조와 간결한 기술을 구현하지 못하며 논쟁점에 관한 기사내용도 언급하기를 피한다. 또한, 독자의 흥미를 끄는 표현 기법의 사용이 다양하지 못하다. 최신성 유지를 위한 연속개정 주기는 불확실하며 연감은 『브리태니커』만이 발행하고 있어 최신성 유지에 좀 더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수록된 기사의 타임래그는 『브리태니커』와 『두산백과』가 2년으로 비교적 짧았고, 『파스칼』은 6년으로 길었다. 참고문헌의 타임래그는 1-3년 사이로 비교적 최신의 참고문헌을 수록하고 있다. 5) 형태적 특징: 삽도의 위치와 제목의 사용 여부 및 종수의 평가에서는『파스칼』을 제외하고는 모두 만족할만한 수준이다. 그러나, 가격 상승의 요인이 되는 칼라 사용의 적절성 면에서는 『브리태니커』를 제외하고는 다소 부적절한 편이다. 삽도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지도에 있어서 먼저, 종수는 만족할만한 수준이나 접근성을 높여주는 지도색인의 이용 면에서는 『브리태니커』만이 채용하고 있다. 또한, 백과사전의 제본상태는 양호하며, 인쇄본의 크기나 두께는 미국의 조사대상 백과사전에 비해 두껍고, 큰 편이다. 형태의 다양성(인쇄본 전자형태)은 『두산백과』와 『파스칼』만이 추구하고 있다. 6) 특징과 가격: 우리 나라의 백과사전들은 수록된 정보(과학, 시사자료, 북한자료나 공산권 자료, 최신정보 등)나 한국과 동양관련 자료량 등을 주요 특징으로 삼는다. 또한, 가격에서는 판매가와 공급가의 가격이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구매시 기관이나 개인에 따라 차이가 난다. 이는 백과사전의 신뢰성 평가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된다. 본 연구 결과는 일반 인쇄본 백과사전의 내용적·형태적인 면을 평가하였다. 그러나, 오늘날 출판된 백과사전들은 인쇄본 백과사전의 경제성, 최신성, 접근성 등의 난점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인쇄본 백과사전의 기사를 그대로 수록한 다양한 형태의 전자 백과사전을 출판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후속 연구로서 전자 백과사전의 형태적인 면을 고려한 평가연구가 뒤따라야할 것이다.

참 고 문 헌
『21세기 학원세계대백과사전』. 서울 : 학원출판공사, 1993. 31책. 노옥순. 『참고봉사와 참고정보원』. 서울 : 이화여대출판부, 1994. 『두산세계대백과사전』. 서울 : 두산동아, 1996. 30책. 박준식. 『참고조사론』. 개정증보판. 대구 : 계명대학교 출판부, 1989. 박준식. 김문영. “인쇄본 백과사전의 평가요소 분석” 《한국문헌정보학회》 제33권. 제2호 (1999. 6). 5-22. 『브리태니커세계대백과사전』. 서울 : 브리태니커, 1993. 27책. 『파스칼세계대백과사전』. 서울 : 동서문화사, 1996. 31책. Awe, Susan C., ed. Arba Guide to Subject Encyclopedia & Dictionaries. 2nd ed. Littleton, CO : Libraries Unlimited, 1997. Balay, Robert. Guide to Reference Books. 11th ed. Chicago: A.L.A., 1996. Booklist: Including Reference Book Bulletin. Chicago: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1905- . Semimonthly. Bopp, Richard E. and Linda C. Smith. Reference and Information Services: An Introduction. 2nd ed. Englewood CO : Libraries Unlimited, 1995. Cheney, Francis N. “Encyclopedias.” in: Encyclopedia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ed. by Allen Kent. 8 vols. New York : Marcel Dekker, 1972. 45-48. Collison, Robert L., W. E. Preece and A. W. Read. “Encyclopaedias and Dictionaries.” in: The New Encyclopaedia Britannica - Macropaedia. 15th ed. 18 vols. Chicago : Encyclopaedia Britannica, 1994. 257-286. Compton's Encyclopedia and Fact-Index. Cicago : Encyclopedia Britannica. 1992. 26 vols. Gates, Jean Key. Guide to the Use of Libraries and Information Sources. 7th ed. New York : McGraw-Hill, 1994. Hirschberg, Herbert S. “Encyclopedia.” in: Encyclopedia Americana 10 vols.. Danbury, CT. : Grolier, 1993. 330-335. Katz, William A. Introduction to Reference Work: Vol. 1. Basic Information Sources. 7th ed. New York : McGraw-Hill, 1997. Katz, William A. Introduction to Reference Work: Vol. 2. Reference Services and Reference Processes. 7th ed. New York : McGraw-Hill, 1997. Kister, Kenneth F. Best Encyclopedias: A Guide to General & Specialized Encyclopedias. 2nd ed. Phoenix, AZ. : Oryx Press, 1994. Kister, Kenneth F. Encyclopedia Buying Guide: A Consumer Guide to General Encyclopedias in Print. 3rd ed. New York : R. R. Bowker, 1981. Patrick, Gay D. Building the Reference Collection. New York : Haworth Press, 1991. Pierce, Sydney J. Weeding & Maintenance of Reference Collections. New York : Haworth Press, 1990. Sader, Marion and Amy Lewis. ed. Encyclopedias, Atlases & Dictionaries: A Bowker Reference for Libraries. New York: R .R. Bowker, 1995. Shores, Louis. Basic Reference Sources. Chicago : A.L.A., 1954. Taylor, Margaret T. and Rownald R. Powell. Basic Reference Sources, 4th ed. Metuchen, N. J.: Scarecrow Press. 1990. The Encyclopedia Americana. Danbury, Conn. : Grolier, 1993. 21 vols. The New Encyclopaedia Britannica. Cicago : Encyclopedia Britannica, 1993. 27 vols. The World Book Encyclopedia. Cicago : World Book, 1993. 22 vols. Thomsen, Elizabeth. Reference & Collection Development on the Internet. Neal-Schuman Publishers, 1996 Whiteley, Sandy. Purchasing an Encyclopedia: 12 Points to Consider. 5th ed. Chicago: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1996. Wynar, Bohdan S. ed. American Reference Book Annual(ARBA). Englewood, CO: Libraries Unlimited, 1970- . Annual. (박준식, 김문영 공저. "한국의 현행 인쇄본 백과사전에 관한 분석적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1권 1호(2000, 3): pp.1-21) </HTML>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