놀람 최소화 원칙

1 개요[ | ]

principle of least astonishment (POLA), principle of least surprise
놀람 最小化 原則
놀람 최소화 원칙, 최소 놀람의 원칙
  •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소프트웨어 설계에 적용되는 원칙
  • "필요한 기능에 놀랄만한 요소가 있다면 해당 기능을 다시 설계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 시스템의 구성 요소가 대부분의 사용자들이 행동할 것으로 예측되는 방식으로 동작하는 것이 좋다.
  • 해당 동작이 사용자들을 놀래키지 않는 것이 좋다.

  • "사람들은 시스템의 일부이다. 설계는 사용자의 경험, 예측, 멘탈 모델과 일치하는 것이 좋다."
  • 이 원칙은 이전에 존재하던 사용자의 지식을 지렛대삼아 학습 곡선을 최소화하는 것이 목적인데, 이를테면 사용자에게 친숙할 가능성이 있는, 기능적으로 유사한 프로그램들로부터 상당 부분을 차용한 인터페이스를 설계함으로써 이루어진다.
  • 이러한 관점에서 사용자 예측은 특정 컴퓨팅 플랫폼이나 전통과 밀접한 관련이 있을 수 있다.
  • 이를테면 유닉스 명령줄 프로그램들은 스위치의 관점에서 특정한 전통을 따를 것으로 예상되며,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프로그램들의 위젯들은 단축키의 관점에서 특정한 전통을 따를 것으로 예상된다.
  • 다른 예로, API와 같은 더 추상적인 구성에서는 함수나 메소드 이름들이 직관적으로 동작과 일치할 것으로 예상된다.
  • 이러한 실천은 합리적인 기본값 적용을 포함한다.

2 같이 보기[ | ]

3 참고[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