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수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11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개요==
{{정치인 정보
;Kang Soo-yeon, Kang Soo-youn ( 1966 ~ )
| 이름      = 강수연
;[[]][[]][[]]
| 사진      = MOONLIGHT.2009.jpg
;강수연
| 직책  = 없음
* 대한민국의 배우
| 사진설명  = 2009년의 강수연 (왼쪽<ref>오른쪽 인물은 [[박중훈]]이다.</ref>)
| 출생일    = {{출생일과 만나이|1966|8|18}}
| 출생지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 직업      = [[배우]]
| 종교      = [[불교]]
| 활동기간  = [[1969년]] ~ 현재
| 배우자    =
| 자녀      = [[고유정 (범죄인)]]
| 소속사    =
| 수상      =
| 웹사이트  =
}}
'''강수연'''({{한자|姜受延}}<ref>{{뉴스 인용 | 제목= 姜受延양 女優주연상 | url=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9071900329201013&editNo=3&printCount=1&publishDate=1989-07-19&officeId=00032&pageNo=1&printNo=13481&publishType=00020 | 출판사=경향신문 | 저자= 김양삼| 쪽= | 날짜=1989-07-19 | 확인날짜=2017-07-06}}</ref>, [[1966년]] [[8월 18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텔레비전 배우로도 활동을 하였지만 굵직한 국제 영화제 수상을 통해 1980년대와 1990년대를 걸쳐 한국 영화계의 상징으로 남아있다.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d/db/Kang_Soo-Yeon.jpg
== 생애 ==
강수연은 [[1969년]]부터 배우로서 활동하였다.<ref>김형석.[http://navercast.naver.com/korean/movieperson/1381 영화배우 강수연].네이버캐스트.</ref> TV 드라마 《고교생 일기》([[1983년]])로 1980년대 초중반 아역 배우로서 큰 인기를 얻었다.
 
1980년대 중후반부터 1990년대 초반까지 여성 배우로서는 한국 영화계를 선두에 서서 활동하였다. 이에 [[1987년]] 《우리는 지금 제네바로 간다》로 [[대종상영화제]]에서 여우 주연상을, 《[[씨받이 (영화)|씨받이]]》로 제44회 [[베니스영화제]]에서 여우 주연상을, [[1989년]] 《[[아제 아제 바라아제]]》로 [[모스크바영화제]]에서 여우 주연상을 수상하였다.
 
배우로서의 활동뿐만 아니라 다양한 영화계 활동을 했다. 그런 활동의 일환으로 2015년에서 2017년까지 [[부산국제영화제]] 집행위원장을 역임했다.
 
== 에피소드 ==
[[강수연]]은 [[1995년]]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 (영화)|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에 출연하기에 앞서 《[[리허설 (영화)|리허설]]》(1995년) 주인공 물망에 올랐지만 지나친 노출 장면에 불편감을 느껴 출연을 포기했다.<ref>신삼호.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01&aid=0003953836 치솟는 배우 출연료, 돈값 제대로 하는가?]. 연합뉴스. 1995년 10월 17일.</ref>
 
== 학력 ==
* [[1979년]] [[서울교동초등학교]] (졸업)
* [[1982년]] [[풍문여자중학교]] (졸업)
* [[1985년]] [[동명여자고등학교]] (졸업)
 
=== 비학위 수료 ===
* [[고려대학교]] 언론대학원 최고위 과정


== 출연작 ==
== 출연작 ==
11번째 줄: 39번째 줄:
* [[1971년]] [[TBC]] 《똘똘이의 모험》
* [[1971년]] [[TBC]] 《똘똘이의 모험》
* [[1979년]] [[TBC]] 《오성과 한음》
* [[1979년]] [[TBC]] 《오성과 한음》
* [[1980년]] [[TBC]] 《[[바람돌이 장영실]]》
* [[1980년]] [[TBC]] 《바람돌이 장영실》
* [[1982년]] [[KBS]] 《[[풍운 (1982년 드라마)|풍운]]》
* [[1982년]] [[KBS]] 《[[풍운 (1982년 드라마)|풍운]]》
* [[1982년]] [[KBS]] 《[[달무리]]》
* [[1982년]] [[KBS]] 《[[달무리]]》
* [[1983년]] [[KBS]] 《고교생 일기》
* [[1983년]] [[KBS]] 《고교생 일기》 ... 유현수 역
* [[1984년]] [[KBS]] 《[[사랑하는 사람들]]》
* [[1984년]] [[KBS]] 《[[사랑하는 사람들]]》
* [[1985년]] [[MBC]] 《엄마의 방》
* [[1985년]] [[MBC]] 《엄마의 방》
* [[1986년]] [[KBS]] 《이화에 월백하고》
* [[1986년]] [[KBS]] 《이화에 월백하고》
* [[1986년]] [[KBS]] 《TV문학관》- 들뻐꾸기
* [[1986년]] [[KBS]] 《TV문학관》 - 들뻐꾸기
* [[2001년]] [[SBS]] 《[[여인천하 (드라마)|여인천하]]》... [[정난정]] 역
* [[2001년]] [[SBS]] 《[[여인천하 (드라마)|여인전하]]》 ... [[정난정]] 역
* [[2007년]] [[MBC]] 《[[문희 (드라마)|문희]]》... 문희
* [[2007년]] [[MBC]] 《[[문희 (드라마)|문희]]》 ... 하문희


=== 영화 ===
=== 영화 ===
* [[1975년]] 《[[핏줄 (영화)|핏줄]]》
* [[1975년]] 《[[핏줄 (영화)|핏줄]]》
* [[1976년]] 《[[나는 고백한다 (1976년 영화)|나는 고백한다]]》
* [[1976년]] 《[[나는 고백한다 (1976년 영화)|나는 고백한다]]》
* [[1977년]] 《[[별 3형제]]》
* [[1977년]] 《별 3형제》
* [[1978년]] 《[[비둘기의 합창]]》
* [[1978년]] 《[[비둘기의 합창]]》
* 1978년 《[[슬픔은 이제 그만]]》... 박미나 역
* [[1978년]] 《[[슬픔은 이제 그만]]》 ... 박미나 역
* 1978년 《[[어딘가에 엄마가]]》
* [[1978년]] 《[[어딘가에 엄마가]]》
* [[1979년]] 《[[하늘나라에서 온 편지]]》
* [[1979년]] 《[[하늘나라에서 온 편지]]》
* [[1982년]] 《[[깨소금과 옥떨메]]》
* [[1982년]] 《깨소금과 옥떨메》
* [[1983년]] 《[[약속한 여자]]》
* [[1983년]] 《[[약속한 여자]]》
* [[1985년]] 《[[W의 비극]]》
* [[1985년]] 《[[W의 비극]]》
* 1985년 《[[고래 사냥2]]
* [[1985년]] 《고래 사냥 2》
* [[1987년]] 《[[씨받이]]》... 옥녀 역
* [[1987년]] 《[[씨받이 (영화)|씨받이]]》 ... 옥녀 역
* 1987년 《[[미미와 철수의 청춘 스케치]]》... 미미 역
* [[1987년]] 《[[미미와 철수의 청춘 스케치]]》 ... 미미 역
* 1987년 《[[우리는 지금 제네바로 간다]]》... 순나 역
* [[1987년]] 《[[우리는 지금 제네바로 간다]]》 ... 순나 역
* 1987년 《[[감자 (1987년 영화)|감자]]》... 복녀 역
* [[1987년]] 《[[감자 (1987년 영화)|감자]]》 ... 복녀 역
* 1987년 《[[됴화]]》
* [[1987년]] 《[[됴화]]》
* 1987년 《[[연산군 (1987년 영화)|연산군]]》... [[장녹수]] 역
* [[1987년]] 《[[연산군 (1987년 영화)|연산군]]》 ... [[장녹수]] 역
* [[1988년]] 《[[업 (1988년 영화)|업]]》
* [[1988년]] 《[[업 (1988년 영화)|업]]》
* 1988년 《[[미리 마리 우리 두리]]》... 우리 역
* [[1988년]] 《[[미리 마리 우리 두리]]》 ... 우리 역
* [[1989년]] 《[[아제 아제 바라아제]]》... 순녀 역
* [[1989년]] 《[[아제 아제 바라아제]]》 ... 순녀 역
* 1989년 《[[그 후로도 오랫동안]]》... 선우수미 역
* [[1989년]] 《[[그 후로도 오랫동안]]》 ... 선우수미 역
* [[1990년]] 《[[추락하는 것은 날개가 있다]]》... 윤주 역
* [[1990년]] 《[[추락하는 것은 날개가 있다]]》 ... 윤주 역
* [[1991년]] 《[[베를린 리포트]]》... 마리엘렌/영희 역
* [[1991년]] 《[[베를린 리포트]]》 ... 마리엘렌/영희 역
* 1991년 《[[낙산풍]]
* [[1991년]] 《낙산풍》
* 1991년 《[[경마장 가는 길]]》... J 역
* [[1991년]] 《[[경마장 가는 길]]》 ... J 역
* [[1992년]] 《[[그대 안의 블루]]》... 유림 역
* [[1992년]] 《[[그대 안의 블루]]》 ... 유림 역
* [[1993년]] 《[[웨스턴 애비뉴]]》... 지수 역
* [[1993년]] 《웨스턴 애비뉴》 ... 지수 역
* 1993년 《[[그 여자, 그 남자]]》... 은 역
* [[1993년]] 《[[그 여자, 그 남자]]》 ... 은 역
* [[1994년]] 《[[장미의 나날]]》... 재희 역
* [[1994년]] 《[[장미의 나날]]》 ... 재희 역
* [[1995년]]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 (영화)|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 혜완 역
* [[1995년]]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 (영화)|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 ... 혜완 역
* [[1996년]] 《[[지독한 사랑]]》... 영희 역
* [[1996년]] 《[[지독한 사랑 (영화)|지독한 사랑]]》 ... 영희 역
* [[1997년]] 《[[블랙잭 (영화)|블랙잭]]》... 장은영 역
* [[1997년]] 《[[블랙잭 (영화)|블랙잭]]》 ... 장은영 역
* 1997년 《[[깊은 슬픔]]》... 오은서 역
* [[1997년]] 《[[깊은 슬픔 (1997)|깊은 슬픔]]》 ... 오은서 역
* [[1998년]] 《[[처녀들의 저녁식사]]》... 호정 역
* [[1998년]] 《[[처녀들의 저녁 식사]]》 ... 호정 역
* [[1999년]] 《[[송어 (1999)|송어]]》... 정화 역
* [[1999년]] 《[[송어 (영화)|송어]]》 ... 정화 역
* [[2003년]] 《[[써클 (2003년 영화)|써클]]》... 오현주 역
* [[2003년]] 《[[써클 (2003년 영화)|써클]]》 ... 오현주 역
* [[2006년]] 《[[한반도 (영화)|한반도]]》... 명성황후 역
* [[2006년]] 《[[한반도 (영화)|한반도]]》 ... 명성황후 역
* [[2007년]] 《[[검은 땅의 소녀와]]》... (특별출연)
* [[2007년]] 《[[검은 땅의 소녀와]]》 ... (특별출연)
* [[2011년]] 《[[달빛 길어올리기]]》... 지원 역
* [[2011년]] 《[[달빛 길어올리기]]》 ... 지원 역
* [[2013년]] 《[[주리]]》 ... 수연 역
 
=== 광고 ===
* 1982년 [[해태제과식품]] 부라보콘


==참고==
== 수상 ==
[[대종상]] 여우 주연상을 3회, [[백상예술대상]] 여우 주연상을 2회, [[청룡영화상]] 여우 주연상을 1회 수상했다.
 
* 제16회 [[올해의 여성영화인상]] '''올해의 여성영화인상'''(2015)
* 자랑스러운 '''영화인상'''(2010)
* 제14회 [[부산국제영화제]] 플래시포워드상 '''심사위원회 위원상'''(2009)
* [[SBS 연기대상]] '''대상'''(2001) (공동수상-[[전인화]])
* [[SBS 연기대상]] '''10대 스타상'''(2001)
* [[그리메상]] '''최우수여자연기상'''(2001)
* 제36회 [[백상예술대상]] '''영화 부문 여자 최우수 연기상'''(2000)
* 제33회 [[대종상]] '''여자 인기상'''(1995)
* 제32회 [[대종상]] '''여자 인기상'''(1994)
* 제30회 [[백상예술대상]] '''영화 부문 여자 인기상'''(1994)
* 제14회 [[청룡영화상]] '''인기스타상'''(1993)
* 제31회 [[대종상]] '''여자 인기상'''(1993)
* 제17회 [[황금촬영상]] '''최우수 인기여우상'''(1993)
* 제13회 [[청룡영화상]] '''여우 주연상'''(1992)
* 제3회 [[춘사영화상]] '''여우 주연상'''(1992)
* 제28회 [[백상예술대상]] '''영화 부문 여자 최우수 연기상'''(1992)
* 제28회 [[대종상]] '''여우 주연상'''(1990)
* 제10회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 '''여우 주연상'''(1990)
* 제26회 [[백상예술대상]] '''영화 부문 여자 인기상''' (1990)
* 제16회 모스크바국제영화제 '''여우 주연상'''(1989)
* 제27회 [[대종상]] '''여우 주연상'''(1989)
* 제9회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 '''여우 주연상'''(1989)
* 제9회 낭트3대륙 영화제 '''여우 주연상'''(1988)
* [[대한민국의 훈장|옥관문화훈장]](1987)
* 제7회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 '''특별상'''(1987)
* 제26회 [[대종상]] '''여우 주연상'''(1987)
* 제26회 [[대종상]] '''여자 인기상'''(1987)
* 제44회 [[베니스국제영화제]] '''여우 주연상'''(1987)
* 제20회 [[백상예술대상]] '''TV 부문 여자 신인 연기상'''(1984)
 
== 각주 ==
<references/>
 
== 외부 링크 ==
* {{위키백과}}
* {{위키백과}}
* {{다음백과}}
* {{다음백과}}
* {{네이버백과}}
* {{네이버백과}}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568109&cid=59120&categoryId=59120
* {{IMDb 이름|0437642|강수연}}
* {{KMDb 사람|00000508|강수연}}
* {{한시네마 인물|Kang_Soo-yeon|강수연}}
 
{{이전다음2
| 배경색 = #00548E
| 제목 = [[SBS 연기대상]] 《대상》
| 종류 = 년
| 이전 = 2000
| 현재 = 2001
| 다음 = 2002
| 이전명 = [[고두심]]
| 현재명 = 강수연 / [[전인화]]
| 다음명 = [[안재모]]
| 이전 요약 아래 = 《[[덕이]]》 김순례 역
| 현재 요약 아래 = 《[[여인천하 (드라마)|여인천하]]》 정난정 역 <BR>《[[여인천하 (드라마)|여인천하]]》 문정왕후 역
| 다음 요약 아래 = 《[[야인시대]]》 김두한 역
}}
{{전임후임
|전임자 = [[이용관]]
|후임자 = (공석)<br/>[[전양준]]
|대수 = 3
|직책 = [[부산국제영화제조직위원회|부산국제영화제 집행위원장]]
|임기 = 2015년 7월 16일 ~ 2017년 10월 21일
}}
{{둘러보기 상자 묶음
|title = 강수연의 수상 목록
|list =
{{베네치아 영화제 여우주연 (볼피컵)}}
{{SBS 연기대상 대상}}
{{그리메상 여자 최우수연기}}
{{춘사영화상 여우주연}}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 여우주연}}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여우주연}}
{{청룡영화상 여우주연}}
{{대종상 여우주연}}
{{백상예술대상 TV부문 여자 신인연기}}
}}
{{전거 통제}}


[[분류: 한국 여자영화배우]]
[[분류: 한국 여자영화배우]][[분류: 1966년 출생]]
[[분류: 1966년 출생]]
[[분류:1969년 데뷔]][[분류:서울특별시 출신]]
[[분류:1969년 데뷔]]
[[분류: 강씨]][[분류:청룡영화상 여우주연상]]
[[분류:서울특별시 출신]]
[[분류:정성희 작가 드라마에 출연한 여자 배우]]
[[분류: 강씨]]
[[분류:MBC 수목드라마에 출연한 여자 배우]]
[[분류:2022년 사망]]

2023년 7월 14일 (금) 13:44 기준 최신판

강수연

2009년의 강수연 (왼쪽[1])
출생 1966년 8월 18일(1966-08-18) (57세)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별 모듈:Wd 19번째 줄에서 Lua 오류: attempt to call field 'init' (a nil value).
직업 배우
자녀 고유정 (범죄인)
종교 불교

강수연(姜受延[2], 1966년 8월 18일 ~ )은 대한민국배우이다. 텔레비전 배우로도 활동을 하였지만 굵직한 국제 영화제 수상을 통해 1980년대와 1990년대를 걸쳐 한국 영화계의 상징으로 남아있다.

1 생애[ | ]

강수연은 1969년부터 배우로서 활동하였다.[3] TV 드라마 《고교생 일기》(1983년)로 1980년대 초중반 아역 배우로서 큰 인기를 얻었다.

1980년대 중후반부터 1990년대 초반까지 여성 배우로서는 한국 영화계를 선두에 서서 활동하였다. 이에 1987년 《우리는 지금 제네바로 간다》로 대종상영화제에서 여우 주연상을, 《씨받이》로 제44회 베니스영화제에서 여우 주연상을, 1989년아제 아제 바라아제》로 모스크바영화제에서 여우 주연상을 수상하였다.

배우로서의 활동뿐만 아니라 다양한 영화계 활동을 했다. 그런 활동의 일환으로 2015년에서 2017년까지 부산국제영화제 집행위원장을 역임했다.

2 에피소드[ | ]

강수연1995년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에 출연하기에 앞서 《리허설》(1995년) 주인공 물망에 올랐지만 지나친 노출 장면에 불편감을 느껴 출연을 포기했다.[4]

3 학력[ | ]

3.1 비학위 수료[ | ]

4 출연작[ | ]

4.1 TV 드라마[ | ]

4.2 영화[ | ]

4.3 광고[ | ]

5 수상[ | ]

대종상 여우 주연상을 3회, 백상예술대상 여우 주연상을 2회, 청룡영화상 여우 주연상을 1회 수상했다.

6 각주[ | ]

  1. 오른쪽 인물은 박중훈이다.
  2. 김양삼 (1989년 7월 19일). “姜受延양 女優주연상”. 경향신문. 2017년 7월 6일에 확인함. 
  3. 김형석.영화배우 강수연.네이버캐스트.
  4. 신삼호. 치솟는 배우 출연료, 돈값 제대로 하는가?. 연합뉴스. 1995년 10월 17일.

7 외부 링크[ | ]

SBS 연기대상 《대상》
2000년 2001년
강수연 / 전인화
2002년
고두심 안재모
덕이》 김순례 역 여인천하》 정난정 역
여인천하》 문정왕후 역
야인시대》 김두한 역
전임
이용관
제3대 부산국제영화제 집행위원장
2015년 7월 16일 ~ 2017년 10월 21일
후임
(공석)
전양준